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 ORIGINAL ARTICLES / SAFERY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Vol. 19, No. 1, pp.32-40
ISSN: 1226-6183 (Print) 2287-205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Mar 2015
Received 16 Feb 2015 Revised 25 Feb 2015 Accepted 24 Mar 2015
DOI: https://doi.org/10.7585/kjps.2015.19.1.32

국내 유통 다소비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노출평가

강남숙* ; 김성철 ; 강윤정 ; 김도형 ; 장진욱 ; 원세라 ; 현재희 ; 김동언 ; 정일용 ; 이규식1 ; 신영민 ; 정동윤 ; 김상엽 ; 박주영 ; 권기성 ; 지영애
부산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팀
1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평가원 잔류물질과
Monitoring and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Namsuk Kang* ; Seongcheol Kim ; Yoonjung Kang ; Dohyeong Kim ; Jinwook Jang ; Sera Won ; Jaehee Hyun ; Dongeon Kim ; Il Yong Jung ; Gyuseek Rhee1 ; Yeongmin Shin ; Dong Yun Joung ; Sang Yub Kim ; Juyoung Park ; Kisung Kwon ; Youngae Ji
Hazardous Substances Analysis Team, Busan Regional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Busan 608-080, Korea
1Pesticide and Veterinary Drug Residu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Cheongwon 363-700, Korea

Correspondence to: * Tel: +82-51-610-6144, Fax: +82-51-610-6159 E-mail: kangns97@korea.kr

초록

본 연구는 유통 농산물의 잔류 실태를 조사하여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9개 지역에서 수거된 농산물 15개 품목 232건을 식품공전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으로 분석하였으며, GC/MSMS로 분석 가능한 농약 196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53건의 시료에서 64종의 농약이 검출되었고 이 중 chlorpyrifos와 procymidone이 가장 빈번히 검출되었다. 검출된 64종 중 깻잎에서 검출된 chlorpyrifos와 복숭아에서 검출된 picoxystrobin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각각의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한 chlorpyrifos와 picoxystrobin을 포함한 검출 농약에 대해 위해평가를 수행한 결과, 1일 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대비 1일 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이 0.001~0.902%로 조사되어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결과 유통 농산물에서 잔류농약은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향후 식품안전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을 생각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evaluate food safety on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of Korea and to use as a data base for the establishment of food policy. A total of 196 pesticide upon these products were analyzed using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s of Korean Food Code, and 232 samples of 15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9 regions were supplied for this study. In the results, 64 kinds of pesticides were detected in 53 samples,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of them were shown a high frequency of detection in the analyzed pesticides. Among them, two samples (chlorpyrifos in perilla leaves and picoxystrobin in peach) were detected over Maximum Residue Limits (MRLs). The levels of the detected pesticide residues were within safe levels. Also, the intake assessment for pesticide residues including chlorpyrifos at multi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were carried out. The result showed that the ratio of EDI (estimated daily intake) to ADI (acceptable daily intake) was 0.001~0.902% which means that the detected pesticide residues were in a safe range so that residual pesticid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re properly controlled.

Keywords:

agricultural commodities, monitoring, residual pesticide, exposure assessment

키워드:

농산물, 모니터링, 잔류농약, 노출평가

1. 서론

국민의 소득 증가로 삶이 여유로워짐에 따라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농작물의 병해충 및 잡초방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농약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식품에 잔류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09 식품 중 잔류농약에 관한 소비자 인식도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청). 이와 같이 잔류농약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주된 원인은 가끔씩 보도되는 농약 안전사고 등으로 인하여 농약을 독극물처럼 인식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최근 유기농·친환경·저농약 농산물들이 소비자에게 각광을 받고 있지만, 이들 만으로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만큼 충분한 양의 농산물을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잘 관리된 농약의 사용이 꼭 필요하다.

세계 각 국에서는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농산물의 수입 개방으로 인해 늘어나는 농산물과 새롭게 개발되는 농약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68년부터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1988년 9월 처음으로 17종 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을 처음으로 설정한 이후, 현재까지 농산물 441종, 인삼 78종, 축산물 82종을 대상으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식품공전, 2014). 또한 검출이력이 있거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농약을 대상으로 1998년부터 국가잔류농약모니터링 사업을 시작하여 현재까지 매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식품 위생 정책에 반영하고 있다(Do 등, 2013). 특히, 2011년 중국에서 작물의 수확량과 품질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생장조정제의 오남용으로 발생한 ‘불임오이’, ‘폭탄수박’ 사건과 관련하여 2012년부터는 기존 모니터링 연구 사업에 생장조정제를 추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대상품목도 생장조정제 사용 가능성이 큰 과채류와 과일류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농산물 중 섭취량이 높은 농산물 15품목(과채류 및 과일류 중심)을 대상으로 생장조정제포함 농약 196종을 모니터링하여 농산물에서 농약사용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료 및 분석대상 농약

2013년 5월부터 10월까지 전국 9개 도시(서울, 부산, 인천, 수원,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창원) 15지점의 농산물 도매시장과 대형마트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15품목 232건을 대상으로 잔류농약을 검사하였다(Table 1). 수거지역은 인구백만 이상 인 도시의 인구 분포를 고려하여 확률비례 추출법으로 선정하였다(MSPA, 2012). 분석대상 농약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기인계, 유기염소계를 비롯한 다양한 계열의 농약 196종으로 하였다(Table 2).

List of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Pesticides for GC-MS/MS analysis

시약 및 기기

196종의 농약 표준품은 Dr. Ehrenstorfer GmbH, Supelco, Chem Service, Reidel-de haen, Sigma-Aldrich, Wako 및 Fluka 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료 전처리 과정 중 추출 및 정제를 위해 사용한 유기용매(acetonitrile, acetone, dichloromethane)는 Merck사의 잔류농약 분석용 특급시약(pesticide residue analysis grade)을 사용하였으며, 시료의 정제를 위해 사용된 florisil SPE cartridge (1,000 mg, 6 mL)와 carbon SPE cartridge (500 mg, 6 mL)는 Agilent 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GC/MSMS는 CP-3800 Gas Chromatography가 연결된 Varian 1200L Triple Quadrupole(Varian, USA)을 사용하였고, 칼럼은 잔류농약 분석에 주로 사용하는 비극성칼럼인 BR-5MS (30 m × 0.25 mm × 0.25μm, Varian, USA)를 사용하였다.

잔류농약 분석

잔류농약의 시료 채취 및 전처리 방법은 식품공전의 잔류농약 시험법 중 다종농약다성분 분석법(제2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즉, 시료 50 g에(곡류 및 콩류의 경우 물 30 mL를 넣고 2시간 방치) 아세토니트릴 100 mL를 넣은 후 2~3분간 균질화하고 감압여과하였다. 여액에 염화나트륨 10~15 g을 넣고 1분간 세게 흔들어 섞은 후 약 1시간 정치하여 아세토니트릴과 물 층을 분리시켰다. 상등액(아세토니트릴 층)에 아세토니트릴을 첨가하여 100 mL로 정용하고 1/5을 취하여 40oC 이하의 수욕 중에서 감압농축 하여 용매를 휘발시켰다. 이 잔류물을 20% 아세톤 함유 헥산 4 mL에 녹인 후 이를 미리 5 mL의 헥산과 5 mL의 20% 아세톤 함유 헥산으로 활성화시킨 carbon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을 넣고 초당 1~2 방울 정도의 속도로 용출시켜 받았다. 카트리지가 젖어있는 상태에서 20% 아세톤 함유 헥산 5 mL로 용출시킨 후 이를 미리 5 mL의 헥산과 5 mL의 20% 아세톤 함유 헥산으로 활성화시킨 florisil 카트리지에 시료용액을 넣고 추가로 15mL의 20% 아세톤 함유 헥산으로 용출시켜 농축하였다. 이를 아세톤으로 5mL로 녹인 후 멤브레인 필터(PTFE, 0.2μm)로 여과하여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GC/MSMS 기기분석 조건 및 각 농약 성분 별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조건은 Table 3과 같다.

GC/MSMS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analysis of pesticides


결과 및 고찰

회수율 분석

농약 표준품은 농도별(0.025, 0.05, 0.1, 0.25, 0.5, 0.75, 1.0 mg/kg)로 분석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직선성(R2)은 0.99 이상으로 분석구간에서 양호하였다. 검출한계(LOD)는 S/N ratio가 3이상, 정량한계(LOQ)는 S/N ratio가 10이상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binapacryl, captan, fluvalinate, isoxanthion은 검출한계 0.01 mg/kg, 정량한계0.02 mg/kg이었으며, 그 외의 농약성분들은 정량한계 0.01mg/kg 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회수율은 6개 농산물(쌀, 대두, 감귤, 고추, 감자, 느타리버섯)을 대상으로 농도별(0.05, 0.1, 0.5 mg/kg) 3반복씩 수행하였으며 대부분의 농약성분이 60~130% 범위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

전국 9개 지역에서 수거된 15품목 232건의 농산물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3건의 시료에서 64(중복 검출된 농약 포함)종의 농약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농약 중 62종(26.7%)은 잔류허용기준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으며, 2종(0.9%)은 허용기준이 초과되었다(Table 4). 농약이 검출된 품목은 주로 과실류(43.2%)와 엽채류(20.9%)였다. 이는 다른 농산물에 비해 농약 살포가 빈번하고 수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확과 근접하여 살포된 농약이 잔류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잔류허용 기준이 초과된 농산물 중 깻잎은 chlorpyrifos가 0.39mg/kg (MRL, 0.01mg/kg)이 검출되었으며 복숭아는 picoxystrobin이 0.4mg/kg (MRL, 0.3mg/kg) 검출되었다. Chlorpyrifos는 깻잎에는 미등록된 농약으로 초과 검출 원인을 조사한 결과 해당 농민이 chlorpyrifos를 사용한 기구를 세척하지 않고 다른 농약을 혼합하여 깻잎에 살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복숭아에서 초과 검출된 picoxystrobin도 복숭아에는 미등록된 농약으로 해당 농민이 복숭아 밭 주변의 감나무에 picoxystrobin을 살포한 직후 복숭아를 수확하여 판매함에 따라 비산에 의한 오염이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해당농민이 의도적으로 미등록 농약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2014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식약처)의 농산물 중 부적합농약 현황(‘11~’13)에서 부적합 발생빈도가 높은 농약 중 대부분이 해당작물에 미등록된 농약인 점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Detection rate of pesticides residue in agricultural products

조사대상 농산물의 농약별 검출분포를 살펴보면, 분석된 196종의 농약 중 중복 검출된 농약을 제외하여 18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chlorpyrifos (19건), procymidone (10건) 및 iprodione (7건)이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Fig. 1, Table 5). 이러한 결과는 2014년도 식품안전관리지침(식약처)의 최근 3년간(’11~’13) 농산물 중 부적합농약 현황에서 이들 농약의 부적합 빈도가 높은 것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황 등의 보고에 의하면 2004~2008년 가락동 농산물도매시장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의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 organophosphate계, organochlorine계 및 dicarboximide계열 농약의 검출률이 현저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지만 여전히 다른 농약에 비해 검출 빈도는 높게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도 유기인계와 dicarboximide계열 농약이 많이 검출되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Hwang 등, 2008). 그리고 검출된 농약의 제품 급성독성이 높은 정도를 비교해 보면 고독성인 methidathion 1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저독성 또는 보통독성에 해당되었으며 methidathion의 검출량은 기준치 이하의 안전한 수준이었다(작물보호제지침서, 한국작물보호협회). 농약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에는 살충제와 살균제가 주로 검출되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에 사용 등록 된 농약 중 살충제(34.5%), 살균제(28.4%)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농촌진흥청, 2013).

Fig. 1.

Most frequently found pesticides in samples.

List of pesticides detected from agricultural products

그리고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두었던 생장조정제는 196종중 7종(diniconazole. metconazole, iporbenfos, paclobutrazol, pendimethalin, propham, tribufos)이며 모니터링 결과 깻잎에서 diniconzole 2건, 쌀에서 iprobenfos 1건이 검출되었다. 깻잎에서 검출된 diniconazole은 백합, 배추의 생장억제를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사과의 붉은별무늬병, 배의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잔디, 마늘의 녹병에 대한 살균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벼에서 검출된 iprobenfos는 주로 벼 도열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metconazole과 iprobenfos 혼합제를 사용할 경우 벼의 아랫부분을 짧고 튼튼하게 하여 잘 부러지지 않게 하고 윗 잎의 각도를 직립화함으로써 도복을 경감시켜 식물생장조정제로써의 효과도 가지고 있다(작물보호제지침서, 한국작물보호협회). 그 외의 식물생장조정제(paclobutrazol, pendimethalin, propham 및 tribufos)는 검출되지 않았다. Pendimethalin은 주로 제초제로 사용되며, propham과 tribufos는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성분이므로 검출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본다.

노출 평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검출된 농약에 대해 노출평가를 실시하였다. 농약이 검출된 18종(중복 검출 농약 제외)을 대상으로 농약별 일일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을 산출하였다. 다시 말하면, 모니터링 결과 값을 근거로 각농산물의 평균 잔류농도를 구하고 이 값에 식이섭취량과 국민 평균 체중 55 kg을 고려하여 일일추정섭취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을 산출하여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8과 같으며, 검출빈도가 가장 높고 깻잎에서 부적합이 발생했던 농약인 chlorpyrifos의 경우 EDI/ADI (%) 값이 약 0.145%로 나타나 위해도는 아주 미미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고독성 농약인 methidathion은 ADI를 고려할 경우 가장 위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EDI/ADI (%) 값은 약 0.902%로 아주 미미한 수준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잔류허용 기준을 초과한 chlorpyrifos와 picoxystrobin의 경우도 EDI/ADI (%) 값이 각각 0.145%와 0.016%의 미미한 수준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검출된 농약 18종 모두 EDI/ADI (%) 값이 0.001~0.902%로 조사되어 위해도가 매우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6). 세척 및 조리 등의 가공 과정을 거치는 경우 그 위해도는 더욱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안전한 농산물의 생산과 공급을 위해서는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른 농민들의 올바른 농약 사용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농약보호제지침서에 따라 농산물별로 사용가능한 적정 농약을 선택하고 살포해야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나 본 연구에서는 사용 등록이 되지 않은 농약성분이 빈번히 검출되었다. 이는 해당 농산물에는 사용 등록되지 않았으나 유사 농산물에는 사용 가능하여, 분류가 유사한 농산물에 잘못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능성 농산물의 선호와 기후 온난화로 새로운 채소, 과일 등 소면적 재배작물은 다양화 되고 있으나 병해충 방제에 사용할 수 있는 등록농약의 부족도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국민들에게 보다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공급하기 위해서는 소면적 작물에 대한 등록 농약의 확대가 필요하며, 아울러 농약 안전 사용에 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Literature Cited

  • Do, J. A., M. Y. Lee, Y. J. Cho, I. Kang, K. Kwon, and J. H. Oh,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pyrimisulfan determination in agricultural commodities by LC-MS/MS, Anal Sci Technol, 26, p154-163. [https://doi.org/10.5806/AST.2013.26.2.154]
  • EC, (200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products of plant origin in the European Union, Norway, Iceland and Liechtenstein 2006,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Belgium.
  • FAO/WHO, (2009), Chapter 6: Dietary exposure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In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240: Principles and methods for the risk assessment of chemicals in food, p19-21,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Swiss.
  • Jang, M. R., H. K. Moon, T. R. Kim, D. H. Yuk, E. H. Kim, C. K. Hong, C. M. Choi, I. S. Hwang, J. H. Kim, and M. S. Kim, (2011), The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vegetables collected in seoul, Korean J Pesti Sci, 15, p114-124.
  • Kim, M. O., H. S. Hwang, M. S. Lim, J. E. Hong, S. S. Kim, J. A. Do, D. M. Choi, and D. H. Cho, (2010),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LC/M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p664-675.
  • Kim, S. H., W. J. Choe, Y. K. Baik, and W. S. Kim, (200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consumed in South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p1515-1522. [https://doi.org/10.3746/jkfn.2008.37.11.1515]
  • U.S. FDA, (2013), Pesticide monitoring program 2009 pesticide repor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
  • Lee, J. Y., W. J. Choe, H. J. Lee, Y. W. Shin, J. A. Do, W. S. Kim, D. M. Choi, K. R. Chae, and C. S. Kang, (2010), Research on pesticides residue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in 2009, J Fd Hyg Safety, 25, p192-202.
  • Lee, Y. D., (2012), Practical book of Korea food code pesticide residue analysis metho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2),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commodities-2012, Ministry Food and Drug Safety, Korea.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3), Notification 2013-204 Korea foo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
  •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MSPA), (2013),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statistics-2012, Korea.
  • Korea Crop Protection Assosiation, (2014), Guidelines on safe use of pesticides, http://koreacpa.org/new/main.html. Accessed 19 December 2014.
  • Joung, Y. H., (2005), Advanced pesticides science, Sigmapress publishing company.
  • Hwang, K. H., C. Y. Lee, E. S. Lee, J. H. Uhm, S. H. Han, K. S. Kim, J. H. Kim, and S. G. Park, (2008), Trend of pesticide residues from agricultural prodects in Garak wholesale market (2004~2008), Report of S.I.H.E, 44, p35-43.
  •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2014), Guidelines on safe management of food-2014.

Fig. 1.

Fig. 1.
Most frequently found pesticides in samples.

Table 1.

List of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Type Commodity No. of sample
Cereal grains Rice 16
Potatoes Potato 15
Beans Soybean 15
Fruits Apple 16
Pear 15
Orange 15
Peach 15
Strawberry 19
Banana 15
Vegetables Fruiting vegetables Watermelon 15
Tomato 16
Squash 15
Cucumber 15
Leafy vegetables Perilla leaves 15
Root and stem vegetables Radish (root) 15

Table 2.

Pesticides for GC-MS/MS analysis

No. Pesticide No. Pesticide No. Pesticide
1. Acrinathrin 46. Deltamethrin 92. Flutolanil
2. Aldrin 47. Diallate 93. Fluvalinate
3. Dieldrin 48. Diazinon 94. Folpet
4. Allidochlor 49. Dichlofluanid 95. Fonofos
5. Ametryn 50. Dichlorvos(DDVP) 96. Fosthiazate
6. Anilofos 51. Dicloran 97. Fthalide
7. Atrazine 52. Dicofol 98. Furathiocarb
8. Azaconazole 53. Diethofencarb 99. Heptachlor
9. Azinphos-ethyl 54. Diflufenican 100. Heptachlor-epoxide
10. Azinphos-methyl 55. Dimepiperate 101. Hexachlorbenzene
11. BHC (α, β, δ-) 56. Dimethachlor 102. Imazalil
12. Bifenthrin 57. Dimethenamid 103. Indanofan
13. Binapacryl 58. Dimethoate 104. Indoxacarb
14. Bromacil 59. Dimethylvinphos 105. Iprobenfos
15. Bromobutide 60. Diniconazole 106. Iprodione
16. Bromophos-methyl 61. Diphenamid 107. Iprovalicarb
17. Bromopropylate 62. Diphenylamine 108. Isazofos
18. Bupirimate 63. Dithiopyr 109. Isofenphos
19. Butafenacil 64. Edifenphos 110. Isofenphos-methyl
20. Cadusafos 65. Endosulfan (α, β, sulfate) 111. Isoprothiolane
21. Captafol 67. Endrin 112. Isoxanthion
22. Captan 68. EPN 113. Kresoxim-methyl
23. Carbophenothion 69. Esprocarb 114. Lactofen
24. Chinomethionat 70. Ethion 115. Lindane (r-BHC)
25. Chlordane 71. Ethoprophos 116. Malathion
26. Chlorfenapyr 72. Etoxazole 117. Mecarbam
27. Chloridazon 73. Etrimfos 118. Mefenacet
28. Chlorobenzilate 74. Fenamidone 119. Mefenpyr-diethyl
29. Chlorothalonil 75. Fenarimol 120. Mepronil
30. Chlorpyrifos 76. Fenazaquin 121. Metconazole
31. Chlorpyrifos-methyl 77. Fenbuconazole 122. Methidathion
32. Chlorthal-dimethyl 78. Fenitrothion 123. Methoxychlor
33. Cinmethylin 79. Fenobucarb 124. Metrafenone
34. Clomeprop 80. Fenothiocarb 125. Molinate
35. Cyanazine 81. Fenoxanil 126. Myclobutanil
36. Cyanophos 82. Fenoxycarb 127. Nitrapyrin
37. Cycloate 83. Fenpropathrin 128. Nitrothal-isopropyl
38. Cyflufenamid 84. Fenthion 129. Nonachlor (cis, trans-)
39. Cyfluthrin 85. Fenvalerate 130. Nuarimol
40. Cyhalofop-butyl 86. Fipronil 131. Ofurace
41. Cyhalothrin 87. Flonicamid 132. Oxadixyl
42. Cypermethrin 88. Fludioxonil 133. Oxydemeton-methyl
43. Cyproconazole 89. Flumiclorac-pentyl 134. Paclobutrazol
44. Cyprodinil 90. Flumioxazine 135. Parathion-ethyl
45. DDT(o,p-DDT, p,p-DDD, p,p-DDE, p,p-DDT) 91. Fluthiacet-methyl 136. Parathion-methyl
137. Pebulate 157. Propazine 177. Terbufos
138. Penconazole 158. Propham 178. Terbuthylazine
139. Pendimethalin 159. Pripisochlor 179. Tetrachlorvinphos
140. Pentoxazone 160. Propyzamide 180. Tetradifon
141. Permethrin 161. Prothiofos 181. Thiazopyr
142. Phenthoate 162. Pyraclofos 182. Thifluzamide
143. Phosalone 163. Pyrazophos 183. Thiometon
144. Phosmet 164. Pyridaben 184. Tolclofos-methyl
145. Phosphamidone 165. Pyridaryl 185. Tolfenpyrad
146. Picolinafen 166. Pyrifenox 186. Tolylfluanid
147. Picoxystrobin 167. Pyrimidifen 187. Tralomethrin
148. Piperophos 168. Pyriminobac-methyl 188. Triadimefon
149. Pirimicarb 169. Quinalphos 189. Triazophos
150. Pirimiphos-ethyl 170. Quintozene (Methyl pentachlorophenyl sulfide, Pentachloroaniline) 190. Tribufos
151. Pirimiphos-methyl 171. Simeconazole 191. Triflumizole
152. Probenazole 172. Sulprofos 192. Triflumuron
153. Prochloraz 173. TCMTB 193. Uniconazole
154. Procymidone 174. Tebufenpyrad 194. Vernolate
155. Profenofos 175. Tebupirimfos 195. Vinclozolin
156. Propachlor 176. Tefluthrin 196. Zoxamide

Table 3.

GC/MSMS operating conditions for the analysis of pesticides

Column BR-5MS (30 m × 0.25 mm × 0.25 μm)
Detector 1200L quadrupole MS/MS (Varian, USA)
Oven temperature Rate (oC/min) Temp. (oC) Hold (min) Time (min)
Initial 70 3 3
20 180 0 8.5
5 300 7.5 40
Inject temperature 280oC
Injection volume 2 μL
Source temperature 200oC
Transfer line temperature 250oC
Carrier gas Helium
Filament-multiplier delay 4 min
Flow rate 0.8 mL/min

Table 4.

Detection rate of pesticides residue in agricultural products

Sample No. of sample No. of samples with residues below or at MRL % samples with residues below or at MRL No. of samples with residues above MRL % samples with residues above MRL
Rice 16 2 12.5 0 0.0
Potatoes 15 0 0.0 0 0.0
Beans 15 0 0.0 0 0.0
Apple 16 6 40.0 0 0.0
Pear 15 2 13.3 0 0.0
Orange 15 7 46.7 0 0.0
Peach 15 13 86.7 1 6.7
Strawberry 19 5 26.3 0 0.0
Banana 15 8 53.3 0 0.0
Watermelon 15 3 20.0 0 0.0
Tomato 16 4 25.0 0 0.0
Cucumber 15 3 20.0 0 0.0
Squash 15 1 6.7 0 0.0
Perilla leaves 15 8 53.3 1 6.7
Radish (root) 15 0 0.0 0 0.0
Total 232 62 26.7 2 0.9

Table 5.

List of pesticides detected from agricultural products

Pesticide Class Uses Sample Amount (mg/kg) MRLs
Acrinathrin Pyrethroids Insecticide Peach 0.07~0.08 0.2
Bifenthrin Pyrethroids Insecticide Apple 0.03 0.5
Banana 0.03~0.07 0.1
Chlorpyrifos Oranophosphate Insecticide Peach 0.03~0.03 0.3
Apple 0.03~0.04 0.1
Banana 0.03~0.05 0.25
Orange 0.03~0.08 0.3
Peach 0.04~0.08 0.5
Pear 0.03~0.05 1.0
Perilla leaves 0.39 0.1
Chlorpyrifos-methyl Oranophosphate Insecticide Perilla leaves 0.01 0.1
Cypermethrin Pyrethroids Insecticide Perilla leaves 0.08~0.28 5.0
Diniconazole Triazole Fungicide, Plant growth regulator Perilla leaves 0.07~0.1 0.3
Fenobucarb Carbamate Insecticide Apple 0.02 0.5
Rice 0.03 0.5
Fenpropathrin Pyrethroids Insecticide Orange 0.08 5.0
Peach 0.08~0.08 1.0
Strawberry 0.06 1.0
Fludioxonil Cyanopyrrole Fungicide Tomato 0.09 0.7
Indoxacarb Oxadiazin Insecticide Apple 0.05 0.1
Perilla leaves 0.58 20
Iprobenfos Oranophosphate Fungicide, Plant growth regulator Rice 0.04 0.2
Iprodione Dicarboximide Fungicide Apple 0.37 10.0
Banana 0.3~2.4 5.0
Cucumber 0.09 5.0
Tomato 0.04 5.0
Watermelon 0.04 0.2
Kresoxim-methyl Strobilurim Fungicide Perilla leaves 0.08 0.1
Methidathion Oranophosphate Insecticide Peach 0.09 0.2
Picoxystrobin Strobiluron Fungicide Cucumber 0.03 0.3
Peach 0.44 0.3
Procymidone Dicarboximid Fungicide Cucumber 0.03 2.0
Perilla leaves 0.03 5.0
Squash 0.03 1.0
Strawberry 0.01~0.06 10.0
Tomato 0.02 5.0
Watermelon 0.01~0.03 2.0
Pyridaben Pyridazinone Insecticide Tomato 0.05 1.0

Table 6.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No. Pesticide ADI* (mg/person/day) EDI** (mg/person/day) EDI/ADI (%)
* acceptable daily intake
** estimated daily intake
1 Acrinathrin 0.55 1.22E-03 0.221
2 Bifenthrin 0.55 3.10E-04 0.056
3 Chlorpyrifos 0.55 7.95E-04 0.145
4 Chlorpyrifos-methyl 0.55 2.38E-04 0.043
5 Cypermethrin 1.10 2.42E-03 0.220
6 Diniconazole 1.10 1.21E-03 0.110
7 Fenobucarb 0.66 7.91E-04 0.120
8 Fenpropathrin 1.65 2.87E-04 0.017
9 Flonicamid 1.38 3.21E-04 0.023
10 Fludioxonil 22.00 2.36E-04 0.001
11 Indoxacarb 0.55 2.51E-03 0.457
12 Iprobenfos 1.93 8.28E-04 0.043
13 Iprodione 3.30 2.49E-03 0.076
14 Kresoxim-methyl 22.00 1.19E-03 0.005
15 Methidathion 0.06 4.96E-04 0.902
16 Picoxystrobin 2.37 3.73E-04 0.016
17 Procymidone 5.50 1.36E-03 0.025
18 Pyridaben 0.55 1.18E-03 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