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Editorial Board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Vol. 25 , No. 3

[ ORIGINAL ARTICLES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Vol. 25, No. 3, pp. 188-195
Abbreviation: Korean J. Pestic. Sci.
ISSN: 1226-6183 (Print) 2287-205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1
Received 08 Jul 2021 Revised 20 Aug 2021 Accepted 23 Aug 2021
DOI: https://doi.org/10.7585/kjps.2021.25.3.188

참외 껍질 유무에 따른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Pyraclostrobin 잔류량 비교
김이선 ; 박정훤1 ; 노현호 ; 김창조 ; 김단비 ; 권혜영2 ; 진용덕3 ; 노진호4, *
국립농업과학원 잔류화학평가과
1㈜ 리써치팜
2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실
3농업회사법인 코파
4국립농업과학원 기술지원과

Comparison of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and Pyraclostrobin Residue with and without Rind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Leesun Kim ; Jeong-Hwon Park1 ; Hyun-Ho Noh ; Chang-Jo Kim ; Dan-Bi Kim ; Hyeyoung Kwon2 ; Yong-Duk Jin3 ; Jin-Ho Ro4, *
Residual Chemical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Republic of Korea
1Research Farm Co., Ltd., Jeonju, Jeonbuk 55075, Republic of Korea
2Planning and coordin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Jeonbuk 54875, Republic of Korea
3Quality management team, Agricultural Corporation KOPA Inc., Daejeon 35223, Republic of Korea
4Technical Suppor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 * E-mail: jhro@korea.kr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실험은 참외 내 잔류농약분석을 위한 한국(미박피)과 일본(박피)의 시료전처리 방법의 차이에 따른 잔류농약 데이터를 비교하고, 한국의 잔류농약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살충제(acrinathrin, diflubenzuron)와 살균제(mandipropamid, pyraclostrobin)의 참외 내 잔류양상을 비교하여, 일본으로의 참외수출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약제는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2,000배 희석하여 10일 간격으로 2회 또는 3회 살포하였다. 최종 약제살포 후 0, 1, 3, 5, 7 및 14일에 시료를 채취한 후 박피시료와 미박피시료로 구분하여 전처리하였다. 미박피 시료 내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와 pyraclostrobin 잔류량은 각각 0.02–0.28, 0.03–0.43, 0.06–0.48 및 0.03–0.32 mg kg-1이었고, 박피 시료는 각각 0.01–0.02, 0.01–0.02, 0.01–0.04 및 0.01–0.02 mg kg-1 이었다.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와 pyraclostrobin 최종약제 살포후 0–14일차에서의 미박피/박피 잔류량 비율은 각각 3.5–28.6, 5.4–24.9, 12.5–18.1과 6.1–42.4이었다. 만약 가장 낮은 미박피/박피 잔류량 비율을 미박피 시료에 적용하여 곱하면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및 pyraclostrobin 잔류량은 각각 0.07, 1.07, 0.12와 0.31 mg kg-1이 되기 때문에, 참외시료를 한국의 잔류농약 전처리방법인 미박피시료에서 잔류량을 측정할 경우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와 pyraclostrobin 잔류량이 각각 0.07, 1.07, 0.12와 0.31 mg kg-1 보다 낮을 경우에는 일본의 잔류농약 전처리방법인 박피시료에 대한 실험 없이 일본으로의 수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For pesticide residue analysis in oriental melon, unpeeled sample is used in Korea but peeled sample is used in Japan, which can cause some difficulties in exporting melons to Japan.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amount of pesticide residue in unpeeled and peeled melon. Target pesticides, acrinathrin and diflubenzuron (insecticides) and mandipropamid and pyraclostrobin (fungicides) were applied two or three times onto the oriental melons at the interval of ten days. After the final application,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0, 1, 3, 5, 7 and 14 days. Unpeeled and peeled melon samples were pulverized respectively for residue analysis. The residues in unpeeled samples were 0.02-0.28 mg kg-1 for acrynathrin, 0.03-0.43 mg kg-1 for diflubenzuron, 0.06-0.48 mg kg-1 for mandipropamid, and 0.03-0.32 mg kg-1 for pyraclostrobin. The residues of acry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and pyraclostrobin in peeled samples were 0.01-0.02 mg kg-1, 0.01-0.02 mg kg-1, 0.01-0.04 mg kg-1, and 0.01-0.02 mg kg-1, respectively. The residue ratios in the unpeeled/peeled oriental melon at 0-14 DAT (days after treatment) were 3.5-28.6 for acrynathrin, 5.4-24.9 for diflubenzuron, 12.5-18.1 for mandipropamid, and 6.1-42.4 for pyraclostrobin. When the lowest residue ratio is applied to maximum residue level (MRL) guideline of Japan, MRLs of acrynathrin, diflubenzuron, madndipropamid, and pyraclostrobin residues in unpeeled oriental melon were changed into 0.07, 1.07, 0.12, and 0.31 mg kg-1, respectively. When acry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and pyraclostrobin residue in unpeeled oriental melon were under 0.07, 1.07, 0.12, and 0.31 mg kg-1, it is possible to export the oriental melons to Japan without extra tes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 Oriental melon, Pesticide residue, Safety
키워드: 참외, 농약잔류, 농산물, 안전성

서 론

참외(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는 멜론의 일종으로 원산지가 아프리카 사하라 남부인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우리나라의 대표 여름과일 중 하나이다(Lim et al., 2019). 농림축산식품통계연보에 따르면 국내에서 참외는 2018년에 3,614(노지 145, 시설 3,469) ha에서 130,528(노지 3,104, 시설 127,424) ton이 생산되었고, 이중 97.6%가 시설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다(MAFRA, 2019). 2018년 경상북도의 참외 재배면적은 3,180 ha로 국내 참외 재배면적의 88.0%를 차지하고 있다. 참외 주산지인 성주군의 농산물 수출 현황 보고에 따르면 2017년 일본(91.7 ton), 홍콩(77.4 ton), 싱가포르(68.1 ton), 말레이시아(13.4 ton), 베트남(3.6 ton), 대만(3.45 ton), 영국(2.2 ton), 러시아(2.0 ton)와 프랑스(0.9 ton)로 총 262.7 ton을 수출하고 있다. 이중 일본으로의 수출물량비중이 34.9%로 가장 높다(Seongju-gun, 2018).

국내에서 참외는 시설하우스 재배 시 노균병, 흰가루병, 총체벌레와 응애류가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Nam et al., 2010; Lim et al., 2019). 참외 재배 중 발생하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등록된 약제들의 잔류량은 국내에서는 과피를 포함한 시료를 사용하여 산출한다. 반면, 일본에서는 과피를 제거(박피)한 시료를 사용하여 산출하고 있다(Lim et al., 2019). 한국과 일본 간 참외 시료의 조제방법의 차이로 인해 실험데이터를 비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2019년 positive list system (PLS) 국내 도입이후, 참외 재배시 발생하는 병·해충 방제를 위한 농약이 일본에서 등록되지 않은 경우,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evel, MRL)을 일괄기준치인 0.01 mg kg-1을 적용하고 있다. 이로인해 일본으로의 참외 수출 통관 시 일본에서 참외에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농약인 chlorfenapyr가 0.02 mg kg-1 수준으로 검출되는 등 위반사례가 발생하여, 전수조사 등의 규제를 받은 바 있다(Kang et al., 2018; Kim et al., 2020a, Kim et al., 2020b, Lee et al., 2021).

선행연구에 따르면, 시료조제 시 박피 유무에 따라 풋귤(mancozeb 등 30성분, 63.8–100%), 멜론(azoxystrobin 및 thiacloprid, 22–40배), 수박(tebuconazole 등 4성분, 10–수십 배), 복숭아(trifloxystrobin, chlorantraniliprole 및 cyhalothrin, >10배), 감(chlorfenapyr)에서 75% 이상, 참외(propamocarb 등 6성분, 75.9–96.6%), 참외(cyenopyrafen 및 cyflufenamid, 10.2–22.9배) 등에서 농약잔류량이 2.8–수십배 까지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Kim et al., 2012; Lee et al., 2013; Lee et al., 2017; Kim et al., 2018; Jeong et al., 2019; Oh et al., 2019; Lim et al., 2019, An et al., 2020). 최근 Lim et al. (2019)은 참외재배 시 많이 발병하는 응애류와 흰가루병 방제에 사용하는 cyenopyrafen과 cyflufenamid에 대하여 박피시료에 대한 미박피시료의 농약잔류량 비율(pesticide residue ration, PRR)과 conversion residue (CR)를 활용하여 한국과 일본 양국 간 참외 내 농약잔류량 조사 시 분석시료 조제방법의 차이(박피 유무)로 인해 발생된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한 바 있다(Lim et al., 20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참외재배시 많이 발병하는 총채벌레와 노균병 방제에 사용하는 살충제 acrinathrin과 diflubenzuron와 살균제 madnipropamid과 pyraclostrobin에 대하여 시료 조제방법에 따른 잔류량을 조사하고, Lim et al. (2019)의 PRR과 CR을 활용하여 실제 참외 수출현장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약 및 표준품

본 연구의 조사대상농약의 표준품, acrinathrin (98%), diflubenzuron (96%), mandipropamid (98.5%) 및 pyraclostrobin (98%)은 Sigma-Aldrich (Seoul, Korea)사의 잔류농약 분석용 제품을 사용하였다.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Safe (QuEChERS) extract packets EN pouch (4 g MgSO4, 1 g NaCl, 1 g sodium citrate, 0.5 g disodium citrate sesquihydrate) 및 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ion (d-SPE) kit (150 mg MgSO4, 50mg primary secondary amine (PSA), 150 mg C18)은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시험장소 및 약제살포

본 시험은 경기도 여주시 흥천면 계신리에 위치한 참외(1월 24일 정식, 오복플러스) 시설재배지에서 수행하였다. 시험구(3.1 m × 3.5 m)는 약제당 3반복으로 배치하였으며 처리구 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지대(1 m)를 설치하고, 대조구를 동일 시설하우스 내에 배치하였다. 약제살포는 살충제 acrinathrin (22.9%) 액상수화제, diflubenzuron (14%) 수화제 및 살균제 mandipropamid (22.59%) 액상수화제, pyraclostrobin (22.9%) 유제를 시중에서 구입한 다음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2,000배 희석였다. 살포시, 배부식동력분무기(Maruyama, Japan)를 사용하여 약액이 충분히 과실에 부착되도록 살포기 노즐의 토출량은 1,200~1,250 mL/min 이며, 처리된 약량은 단위면적당 (184~221) L/10 a 범위내에서 diflubenzuron은 2회, acrinathrin, mandipropamid와 pyraclostrobin은 3회 각각 10일 간격으로 살포하였고, 살포 횟수는 농약안전기준상의 참외에 등록된 횟수에 따라 정하였다.

시료채취 및 시료조제

시험대상 약제 최종 살포 후(DAT, days after treatment), 0, 1, 3, 5, 7 및 14일에 생육상태가 균일한 개체를 무작위로 참외를 채취하였다(0일차 시료는 최종 약제살포 2시간 후에 수확). 참외 꼭지와 껍질을 제거한 후 수직으로 4등분한 다음 2개를 취하여 균질화하여 박피시료를 준비하였다. 참외 꼭지만 제거한 후 박피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미박피 시료를 제조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는 polyethelene bag에 옮긴 후 잔류농약 분석전까지 냉동(-20oC) 보관하였다(참외 1개당 평균 무게 350.4 ± 41.2 g, n=10).

시험대상 농약 분석

시료 내 분석대상 농약의 전처리는 QuEChERS 방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드라이아이스와 함께 마쇄한 시료 10 g을 polyethelene tube (50 mL)에 넣고, acetonitrile 10 mL를 가한 후 1,300 rpm에서 5분간 진탕하였다. 여기에 QuEChERS extract packets EN pouch를 가한 후 재 진탕(1,300 rpm, 5 min)한 다음 원심분리(3,000 rpm, 5 min, HANIL Combi 514R, Daejeon, Korea)하였다. 시료 정제를 위해 상층액 1 mL를 취해 d-SPE kit에 가하여 1분간 강하게 흔든 다음 원심분리(3,000 rpm, 5 min)하였다. 상층액을 syringe filter(0.2 μm)로 여과한 다음 liquid chromatography (LC)-mass spectrometry (MS)/MS (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with API 3200 System, Santa Clara, USA)로 분석하였다(Fig. 2, Table 1, Table 2).

Table 1. 
Instrumental conditions (LC-MS/MS) for target compounds
Items Instrumental conditions
Column YMC-Pack Pro C18 RS (100 × 3.0 mm I.D., 3 μm, 8 mm)
Flow rate 0.3 mL/min
Mobile phase A: 0.5 mM ammonium formate + 0.1% formic acid in distilled water
B: 0.5 mM ammonium formate +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Pesticides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pyraclostrobin, BF-503
Curtain gas (psi) 30 20 15 10
Collision gas (psi) 5 5 5 5
Temperature (oC) 100 500 500 500
Ion source gas 1 (psi) 50 50 50 30
Ion source gas 2 (psi) 50 50 50 45
Mobile phase (A:B) 5:95 20:80 20:80 10:90
Injection volume (μL) 10 5 5 5
Run time (min) 5 5 5 5
Retention time (min) 2.51 3.74 2.44 2.49, 2.56
Scan type MRM*
*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Table 2.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conditions (LC-MS/MS) for target compounds
Pesticide Q1 Q3 Time DP EP CE CXP
Acrinathrin 558.8 208.0 150 36 6 25 6
181.0 150 36 6 49 6
Diflubenzuron 310.9 158.0 150 41 3.5 21 4
140.9 150 41 3.5 47 4
Mandipropamid 411.8 328.0 150 56 8 21 6
124.9 150 56 8 53 4
Pyraclostrobin 387.8 194.0 150 26 4.5 19 6
163.1 150 26 4.5 33 4
BF 500-3 357.8 132.0 150 21 4.5 45 4
164.0 150 21 4.5 19 4

분석법의 유효성

참외 내 시험대상 농약 4종의 잔류량 확인을 위한 분석법은 검량선의 직선성, 검출한계(limits of detection, LOD), 회수율 및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Lim et al., 2018). 시험대상 농약,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pyraclostrobin과 pyraclostrobin의 대사체, BF 500-3를 각각 100 mL acetone에 용해하여 100mg L-1의 stock solution을 제조한 후 stock solution을 희석·혼합하여 5‒1,000 mg L-1의 표준용액을 준비하였다. 각각의 표준용액을 최적화한 기기조건(Table 1)으로 분석한 후 작성한 검량선의 결정계수(determination coefficient, R2)로 검량선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시험대상농약 각 성분의 LOD는 S/N비(signal to noise ratio)가 3.3이 되는 농도로 하여 아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LODmg kg-1=  ng×mL  μL×g

무농약 참외 10g (n=3)에 시험대상 농약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pyraclostrobin과 pyraclostrobin의 대사체, BF 500-3를 저농도 (0.1 mg kg-1)와 고농도 (0.5 mg kg-1) 수준으로 각각 처리한 후, 최적화된 전처리 방법(Fig. 1)과 기기분석 조건(Table 12)을 이용 회수율 시험을 수행하였다. 회수율은 각 성분의 검량선에 대입하여 산출한 농도와 첨가농도의 비로부터 구하였다. 실험실내 분석기기의 정밀성(intermediate precision) 시험은 5회 반복하여 실시한 다음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로 검증하였다(Lim et al., 2018).


Fig. 1. 
Experimental plots on field trial for the pesticide residue in oriental melon.

생물학적 반감기

시험대상 농약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소실률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농약의 농도에 의존하는 first order kinetic model 식을 이용하였다(Park et al., 2005).

Ct= C0e-kt

위에 식에서 k는 소실률 값, t는 농약처리후 시간변화이며, C0는 시험농약의 가장 높은 농도 값을 나타낸다. 산출한 k값과 필드 데이터에서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 다음 식을 이용하여 생물학적반감기(DT50) 값을 산출하였다(Hwang et al., 2015).

DT50 = ln (2) / k

농약잔류량 비율

박피시료에 대한 미박피시료의 농약잔류량 비율과 CR(mg kg-1)는 다음 식을 활용해서 산출하였다(Lim et al., 2019).

PRR = 미박피시료 중 농약잔류량 / 박피시료 중 농약잔류량
CR = Pesticide Residue Ratio × MRL

일본에서 설정한 각 농약의 MRL값을 의미한다. 일본에서 등록되어 있지 않은 농약의 경우 PLS 일괄기준치 0.01 mg kg-1을 적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분석방법의 유효성 검증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법의 정밀성과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회수율 시험을 하였다. 시험대상 농약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pyraclostrobin과 pyraclostrobin의 대사체, BF 500-3의 C18 컬럼 머무름 시간은 각각 2.51, 3.74, 2.44, 2.49 및 2.56분 이었고, 각 성분의 검량선 직선성은 결정계수(R2) ≥ 0.9982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시험대상 농약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pyraclostrobin과 BF 500-3의 회수율과 RSD는 각각 82.4–106.9% ± 2.1–8.4% 범위이었고, LOD는 0.005mg kg-1이었다(Table 3). 이상의 참외의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 pyraclostrobin과 BF 500-3에 대한 회수율 및 RSD 결과는 농촌진흥청에서 권장하는 회수율 70–120%, RSD 10% 이내의 조건을 만족하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RDA, 2020).

Table 3. 
Recovery of tested four pesticides and one metabolite in oriental melon
 Target Compound Recovery (%) LODa)
(mg kg-1)
RSD (%)b)
0.1 mg kg-1 0.5 mg kg-1 0.1 mg kg-1 0.5 mg kg-1
 Acrinathrin 82.4 ± 5.9 87.1 ± 4.8 0.005 7.2 5.5
 Diflubenzuron 91.1 ± 2.0 102.4 ± 8.6 0.005 2.2 8.4
 Mandipropamid 100.6 ± 3.6 106.9 ± 6.1 0.005 3.6 5.7
 Pyraclostrobin 91.5 ± 2.3 96.7 ± 2.6 0.005 2.5 2.7
 c)BF 500-3 94.3 ± 2.0 97.3 ± 2.0 0.005 2.1 2.1
a)LOD: limit of detection
b)RSD: relative standard deviation (standard deviation / average × 100)
c)BF 500-3: metabolite of pyraclostrobin

참외 내 시험농약 잔류량

참외 껍질의 박피여부에 따른 농약잔류량을 측정한 결과, 미박피시료(unpeeled)의 경우 0 DAT에서 acrinathrin의 잔류량은 0.28 ± standard deviation (SD) 0.10mg kg-1, diflubenzuron은 0.43 ± 0.03mg kg-1, mandipropamid는 0.48 ± 0.02 mg kg-1, pyraclostrobin은 0.32 ± 0.03mg kg-1 수준었다. 14 DAT에서 각각의 농약 잔류량이 크게 감소하였다(acrinathrin 0.02 ± 0.01 mg kg-1, diflubenzuron 0.03 ± 0.001 mg kg-1, mandipropamid 0.06 ± 0.002 mg kg-1, pyraclostrobin 0.03 ± 0.002 mg kg-1). 반감기가 각각 3.5, 3.6, 5.1 및 4.3일이었고, 감소정도는 살충제 acrinathrin (16.2배)과 diflubenzuron (16.1배)이 살균제 mandipropamid (7.7배)와 pyraclostrobin (10.6배)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Fig. 2).


Fig. 2. 
Flow chart of the sample preparation (unpeeld/peeld oriental melon) for residue analysis of target compounds.

박피시료(peeled)의 경우 0 DAT에서 acrinathrin의 잔류량은 0.02 ± 0.002 mg kg-1, diflubenzuron은 0.02 ± 0.004 mg kg-1, mandipropamid는 0.04 ± 0.006 mg kg-1, pyraclostrobin는 0.024 ± 0.003 mg kg-1 수준이었다. 14 DAT에서 모두 <LOD수준으로 크게 감소하였다. 시험대상 4개 성분의 반감기는 각각 1.8, 1.9, 4.1과 2.3일이었다(Fig. 3). 우리나라에서는 미박피시료를 대상으로, 참외 내 농약성분 잔류허용기준(MRL)을 설정한 반면, 일본에서는 박피시료를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다(Lim et al., 2019). 미박피시료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참외에 대한 시험대상 농약의 MRL은 acrinathrin 0.3 mg kg-1, diflubenzuron 1.0 mg kg-1, mandipropamid 0.3 mg kg-1, pyraclostrobin 0.5 mg kg-1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mandipropamid는 최종 약제처리 후 3일 이상의 시료, acrinathrin, diflubenzuron과 pyraclostrobin은 모든 시료에서 잔류허용기준을 충족하였다. 반면, 박피시료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일본에서의 참외에 대한 시험대상 4 성분의 MRL은 각각 0.02, 0.2, 0.01 및 0.05mg kg-1으로, acrinathrin은 최종 약제처리 후 1일, diflubenzuron은 최종 약제처리 후 0일, madipropamid는 최종 약제처리 후 14일, pyraclostrobin은 최종 약제처리 후 0일부터 잔류허용기준을 충족하였다(Fig. 3).


Fig. 3. 
Residue curves for acrinathrin (A), diflubenzuron (B), mandipropamid (C), and pyraclostrobin (D) in oriental melon after final application.

환산잔류량과 잔류허용기준 적합성 판정 기준 설정

참외 내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와 pyraclostrobin의 미박피시료에 대한 박피시료의 농약잔류량 비율(PRR, 미박피시료 내 농약잔류량/박피시료 내 농약잔류량)은 각각 3.46–28.64, 5.37–24.91, 12.50–18.11 및 6.12–42.36의 범위였다. 일본에서의 4 성분에 대한 MRL은 각각 0.02, 0.2, 0.01과 0.05mg kg-1이므로 MRL에 PRR을 곱한 환산잔류량(CR)은 각각 0.07–0.57, 1.07–4.98, 0.12–0.18 및 0.31–2.12 mg kg-1 이다(Table 4). 따라서, acrinathrin, diflubenzuron, mandipropamid와 pyraclostrobin의 가장 낮은 PRR인 3.46, 5.37, 12.50 및 6.12을 각각 적용하면 우리나라에서 선택하고 있는 미박피시료를 대상으로 얻은 참외 내 4개 성분의 잔류량이 각각 0.07, 1.07, 0.12 및 0.31 mg kg-1 이하이면 일본에서 선택하고 있는 박피시료 내 잔류량이 일본 잔류허용기준(0.02, 0.2, 0.01 및 0.05mg kg-1)을 충족할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면 국내에서 조사한 참외 내 잔류데이터를 활용하여 추가 실험없이 일본으로의 수출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4. 
Residue ratios of tested four pesticides by the difference of rind peeling (unpeeled/peeled) in oriental melon after final application
Pesticides Item DAT (days after treatment)
0 1 3 5 7 14
Acrinathrin PRRa) 17.46 26.30 28.64 24.69 12.27 3.46
CRb)(mg kg-1) 0.35 0.53 0.57 0.49 0.25 0.07
Diflubenzuron PRR 20.59 21.74 20.37 21.63 24.91 5.37
CR (mg kg-1) 4.12 4.35 4.07 4.33 4.98 1.07
Mandipropamid PRR 12.50 16.68 18.11 13.23 16.98 12.61
CR (mg kg-1) 0.12 0.17 0.18 0.13 0.17 0.13
Pyraclostrobin PRR 19.68 42.36 31.87 20.42 17.09 6.12
CR (mg kg-1) 0.98 2.12 1.59 1.02 0.85 0.31
a)PRR: Pesticide residue ratio (residue of unpeeled samples/residue of peeled samples)
b)CR:Converion residue (pesticide residue ratio×MRL value in Japan)

본 연구는 참외 내 잔류농약 조사 시 국가 간 분석시료 차이(박피유무)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환산인자 인 PRR 및 CR을 활용하여 잔류량을 예측함으로서 수출현장에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한 연구이나 단일포장에서만 수행된 결과이므로, 실제 수출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실제 잔류량과 환산결과의 검증이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반기술연구 (PJ01272704)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이해상충관계

저자는 이해상충관계가 없음을 선언합니다.


References
1. An JM, Chang SY, Lim HJ, Park JO, Kim IS, et al., 2020.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Korean melon after washing and peeling. Korean J. Pestic. Sci. 24(1):51-62.(In Korean)
2. Hwang KW, Bang WS, Jo HW, Moon, JK, 2015. Dissipation and removal of the etofenprox residue during processing in spring onion.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Chemistry 63(30):6675-6680.
3. Jeong DK, Lee HJ, Bae JY, Jang YS, Hong SM, et al., 2019. Chlorfenapyr residue in sweet persimmon from farm to table. Journal of Food Protection, 82(5):810-814. (In Korean)
4. Jeong DK, Jeong WM, Goo YM, Kil YS. Sin SM, et al., 2020. Study on residual characteristics of mandipropamid and metalaxyl-M in Cnidium officinale Makino. Korean J. Pestic. Sci. 24(2):172-179. (In Korean)
5. Kang HR, Park YB, Do YS, Jeong JA, Lee SB, et al., 2018. A safety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tropical fruits depending on implementation of positive list system. J. Food Hyg. Saf. 33(4):310-315. (In Korean)
6. Kim DW, Jin SH, Lee JM. Kim SM, Kim YR, et al., 201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mmature citrus fruits and the characteristics by processing methods. Korean J. Pestic. Sci. 22(4):300-315. (In Korean)
7. Kim IH, Jin YD, Kwon HY, Joo OJ, Kim HN, et al., 2012.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 by the difference of rind peeling in peac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Ansung, Korea. 12-13 Apr.. p. 114.
8. Kim J, Oh JY, Shin J, 2020a. Pesticide and heavy metal residue monitoring in 13 types of agroforestry products in 2019. J. Food Hyg. Saf. 35(4):341-353. (In Korean)
9. Kim YE, Kim SW, Lim, DJ, Kim IS, 2020b. Residues analysis of acetamiprid, boscalid, imidacloprid and pyraclostrobin in the minor crop mustard gree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for evaluation of their potentiality of PLS violation. Korean J. Environ Agric. 39(3):214-221.
10. Lee D, Jeong M, Byun JE, Lee KG, 2021. Determination of 113 pesticides in hot pepper powder in Korea. J. Pestic. Sci. 46(2):173-181.
11. Lee HW, Ro JH, Oh MS, Kim DH, Jin YD, 2013.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 by the difference of rind peeling in watermelon.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Chuncheon, Korea. 31 Oct.-1 Nov.. p. 152.
12. Lee HW, Lee KH, Lee YS. Ro JH, Jin YD, et al, 2017. Residual characteristics of azoxystrobin and thiacloprid by the difference of rind peeling in melon.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Buan, Korea. 2- 3 Nov.. p. 204.
13. Seongju-gun, 2018. Agricultural products export report. https://sj.go.kr/page.do?mnu_uid=1098& (Accessed Nov. 6. 2018)
14. Lim SJ, Kim DB, Oh MS, Noh HH, Park JH, 2019. Comparison of insecticide cyenopyrafen and fungicide cyflufenamid residue by the difference of rind peeling in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Korean J. Pestic. Sci. 23(3):195-201. (In Korean)
15. Lim SJ, Park JH, Ro JH, Oh YT, Joo HG, et al., 2018. Investigation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rape and peach orchard soils and fruits. Korean J. Pestic. Sci. 22(4):292-299.(In Korean)
1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Sejong, Korea.
17. Nam MH, Choi JP, Kim HJ, Lee JJ, Lim KH, et al., 2010. Controlling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KB-401 against cucumber powdery mildew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Korean J. Pectic. Sci. 14(1):49-53.(In Korean)
18. Oh YJ, Hwang IS, Park SW, Choi GH, Ryu SH, 2019. Effects of chlorine dioxide solution on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apple and perilla leaf. Korean J. Pestic. Sci. 23(3):135-145. (In Korean)
19. Park DS, Seong KY, Choi KI, Hur JH, 2005. Field tolerance of pesticides in the strawberry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half-lives estimated from kinetic models.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9(3): 231-236. (In Korean)
20. Rural Development Adiminstration (RDA), 2020. Notification No. 20169-31 of RDA, 2020.6.27., Partial Amendment.

Author Information and Contributions

Leesun Kim, Residual Agrochemical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http://orcid.org/0000-0003-1174-8877

Jeong-Hwon Park, Residual Agrochemical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Hyun-Ho Noh, Residual Agrochemical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Chang-Jo Kim, Residual Agrochemical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Dan-Bi Kim, Residual Agrochemical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Hyeyoung Kwon, Planning and coordination Burea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Yong-Duk Jin, Residual Agrochemical Assessmen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Jin-Ho Ro, Technical Support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searcher, http://orcid.org/0000-0001-9799-6884

Conceptualization, Leesun Kim, Jin-Ho Ro, Hyeyoung Kwon; consultation, Hyun Ho Noh and Yong-Duk Jin; field trials, Jeong-Hwon Park, Jin-Ho Ro and Chang-Jo Kim; formal analysis, Jin-Ho Ro, Jeong-Hwon Park; writing-original draft, Leesun Kim; writing-review & editing, Jin-Ho Ro, Jeong-Hwon Park, Hyun Ho Noh and Dan-Bi Kim; resources, Jin-Ho Ro; project administration, Jin-Ho 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