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 ORIGINAL ARTICLES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Vol. 22, No. 2, pp.131-142
ISSN: 1226-6183 (Print) 2287-205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8
Received 02 Feb 2018 Revised 11 Jun 2018 Accepted 20 Jun 2018
DOI: https://doi.org/10.7585/kjps.2018.22.2.131

미국 및 홍콩 수출을 위한 한국산 포도의 농약 잔류저감형 병해 방제력 개발

안순영 ; 이승열1 ; 정희영1 ; 임양숙2 ; 박종균3 ; 최인명4 ; 윤해근*
영남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1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2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3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4국립원예특작과학원
Development of Efficient Spray Program for Control of Disease in Grapes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Korea
Soon Young Ahn ; Seung-Yeol Lee1 ; Hee-Young Jung1 ; Yang Sook Lim2 ; Jong Kyun Park3 ; In Myung Choi4 ; Hae Keun Yun*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Life Science,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8541, Korea
1College of Agricultural and Life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2Agricultural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Daegu 41404, Korea
3College of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angju 37224, Korea
4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e & Herbal Sciences, Wanju 55365, Korea

Correspondence to: *E-mail: haekeun@ynu.ac.kr

초록

미국 및 홍콩에 수출을 목적으로 수출대상국의 농약잔류허용기준(MRL)에 적합하며 안정적이고 우수한 품질의 포도를 생산할 수 있는 포도 병해 방제력을 개발하고자 관행적인 간이비가림시설에서 웨이크만수형으로 관리되는 ‘캠벨얼리’ 포도원(경북 상주 소재)과 ‘거봉’ 포도원(경산 소재)을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국과 홍콩에서 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면서 우리나라 포도 재배에서 많이 사용되는 살균제를 선발하여, 병해 방제를 목적으로 발아전(1회), 개화전(1회), 개화기(1회), 과립비대기(1회), 변색기(1~2회), 성숙기(1회)로 구분하여 살포하였다. 2015년과 2016년에 걸쳐 약제를 살포하고 수확 전에 병해 발생 여부를 조사하고 과실을 수확하여 과실 특성 및 잔류 농약을 분석하였다. 갈색무늬병에 대한 방제는 tebuconazole, fenhexamid, iprodione, azoxystrobin, trifloxystrobin, difenoconazole 등의 약제와 tebuconazole, fenhexamid, tebuconazole·trifloxystrobin, myclobutanil, difenoconazole, trifloxystrobin 등의 적절한 약제 구성과 적기의 처리를 통해 70-90%의 방제가를 얻었다. 2년에 걸친 과실 품질 분석에서는 미국과 홍콩 모두 각 농가별 약제 처리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고, 잔류농약 분석 결과는 미국과 홍콩의 모든 처리구에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못 미치는 0.01 mg/kg 이하의 양으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각국의 MRL 기준에 적합한 약제를 대상으로 선발된 약제와 처리 시기는 수출용 포도의 병해 방제력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국내의 포도 수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fficient spray calendar to control diseases in production of grapes to be exported to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Hong Kong by use of fungicides permitted by maximum residue levels (MRLs) in both USA and Hong Kong in ‘Campbell Early’ (Sangju, Gyeongbuk) and ‘Kyoho’ (Gyeongsan, Gyeongbuk) vineyards managed in Wakeman’s training system under the rain-shelter system. Fungicides including azoxystrobin, boscalid, difenoconazole, dimethomorph, fenhexamid, fludioxonil, iprodione,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myclobutanil, tebuconazole, trifloxystrobin, were preliminarily selected and sprayed to the vineyards at vine growing stages, which are before budding, before blooming, berry development, veraison, and ripening stages in 2015 to 2016. After fungicides were sprayed as scheduled in the vineyard, the incidence of diseases on the trees was counted before fruit harvest, and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residues were investigated in harvested fruits. Leaf spot were shown to be inhibited the most effectively in treatment 2 in vineyards for exportation to USA, and in treatment 2 in vineyards for exportation to Hong Kong in 2015, and in treatment 4 for exportation to both countries. There is no significance between fungicide treatment and non-treatment in fruit characteristics such as cluster weight, berry weight and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Chemical residue was never detected or was detected in the levels lower than MRL in fungicide-sprayed treatment. Selected chemicals and optimum timing to spray them in vineyards in this study can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in developing efficient safe spray calendar which is acceptable for grape importing countries, and to promote exportation of Korean grapes to foreign countries.

Keywords:

Exportation, grape, fungicide, maximum residue level

키워드:

수출, 포도, 살균제, 잔류허용한계

서론

우리나라 포도 산업의 규모는 3,958억원(MAFRA, 2016)으로, 포도(Vitis spp.)는 사과(Malus domestica B.), 단감(Diospyros kaki T.), 감귤(Citrus spp.)과 함께 4대 과수 중 하나인 주요 과수이다. 국내에서 경북지역은 7,786 ha의 면적에서 146천톤의 포도가 생산되어 전국 포도 생산의 54%를 차지하고 있다(KOSIS, 2016).

2004년 한국과 칠레 FTA 발효 이후, FTA 발효로 인해 생식용 포도 주요 생산국인 칠레와 미국 등으로부터 다양하고 낮은 가격의 포도 수입이 증가하고 있다(KATI, 2017a). 다양한 고품질의 과실이 수입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재배되는 포도 품종의 단순화로부터 기인한 홍수출하로 인해 국내 시장의 포도 과실의 가격은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다(KREI, 2017).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포도 과실의 가격하락을 방지하여 생산자의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고 국내 포도 생산 기반의 유지가 요구되며. 가공품의 개발을 통한 부가가치향상과 함께, 해외로의 수출을 통한 새로운 시장 및 수요 창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수출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대미 포도 수출은 2005년부터 경기 화성, 경북 영천 지역에서 2007년 충북 영동 지역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홍콩으로의 포도 수출은 2010년 영월에서 처음 수출한 이래 화성(2012년), 상주(2014년), 서상주(2016년), 경산(2016년), 천안(2016년)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수출량은 연간 800여톤으로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KATI, 2017a).

과실을 미국과 홍콩으로 수출하기 위해서는 검역과 안전성 검사 등 규격에 맞는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미국에서는 잔류농약 불검출원칙(Zero tolerance) 제도를 시행하여 선정된 수출단지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조건이 있으며, 대미 수출을 위한 포도 생산에는 7종류의 병해(갈색무늬병, 노균병, 녹병, 새눈무늬병, 잿빛곰팡이명, 탄저병, 흰가루병)에 대해 94 종류의 살균제 품목명과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다(RDA, 2017). 홍콩의 경우, 2014년부터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를 시행하여 자국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은 0.01 ppm 미만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홍콩 수출을 위한 포도의 경우 20 종류의 살균제와 각각의 농약 잔류 허용한계 농도를 설정하고 있다(KATI, 2017b).

고품질 포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병해충 방제를 목적으로 한 농약 살포가 필수적이다. 국내에서는 포도 비가림재배에서 병해충의 방제를 위해 년간 8~12회의 약제를 살포하고 있으며, 반복적인 농약 살포는 수확하는 과실에 농약 잔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포도 재배에 많이 사용되는 농약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나 농약의 이동과 분포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Bakirci et al., 2014; Eissa et al., 2013; Lagunas-Allué et al., 2015; Lee et al., 2011). 또한 자국에 수입되는 과실류와 채소류에 대한 농약 잔류 연구(Hjorth et al., 2011; Neff et al., 2012; Poulsen et al., 2007)와 와인이나 기타 가공품에서의 잔류 문제에 대한 연구(Cabras and Angioni, 2000; Čuš et al., 2010; Lentza-Rizos et al., 2006)가 수행되어 왔다.

국내의 포도 생산 농가의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해외로의 포도 수출 확대가 필요하며, 대상국의 검역과 농약사용 안전 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병해 방제를 위한 약제살포 체계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얼리’ 및 ‘거봉’ 포도의 주요 재배단지 포도원에서 주로 사용되며,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홍콩에서 허용된 azoxystrobin, boscalid, dimethomorph, trifloxystrobin, kresoxim-methyl, pyraclostrobin, fenhexamid 등의 살균제(Grimalt and Dehouck, 2016; Lee et al., 2014)를 활용하여, 잔류농약을 최소화하면서 병해 방제에 최적인 농약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장 실증 시험을 통해 처리 시기 및 처리 횟수를 검증하여 미국과 홍콩으로 수출용 ‘캠벨얼리’ 및 ‘거봉’ 포도 생산에 필요한 병해 방제력을 작성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험 포장 및 대상 품종

본 실험은 간이비가림 시설에서 에이크만식 전정법으로 관리가 잘 된 3-5년생의 포도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경북 상주시 모동면(1번 포도원, 1,000 m2)과 화동면(2번 포도원, 1,000 m2)에 위치한 ‘캠벨얼리’ 재배 농가와 경북 경산시 남산면(3번 포도원, 2,000 m2)에 위치한 ‘거봉’ 재배 농가에서 2년(2015-2016년)간 실시하였다. 포도나무는 주당 40송이 내외로 착과수를 조절하여 생육단계에 맞게 관행적으로 재배관리를 수행하였다. 기상조건은 두 지역에서 시험을 수행한 연차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평년과 비교해서도 큰 차이가 없었다(Fig. 1). 강수량은 2015년에는 평년에 비해 강수량이 적었으나 무처리 대조구에서 갈반병의 발병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 2016년에는 6월과 8월에는 강수량이 적었고 경산지역에서는 강수량이 많았으며, 2016년 7월에는 강수량이 많았으나 모든 시험포장이 간이비가림시설로 관리되어 병발생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Fig. 1.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f Gyeongsan (A) and Sangju (B) region from 2015 to 2016. Scores of weather condition represent averages from the data for the latest 30 years.

살포 농약 종류 및 살포 방법

실험에 사용한 살균제는 미국과 홍콩에서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농약으로 농약잔류허용기준(MRLs: Maximum Residue Limits)이 설정되어 있는 농약성분 중에서 각 약제들의 성분과 작용기작 등을 확인하여 적용범위가 넓은 약제를 제형에 따라 선발되었다(Table 1). 사용된 약제는 시중에서 유통되는 포도나무 갈색무늬병, 노균병, 새눈무늬병, 잿빛곰팡이병, 탄저병, 흰가루병 등에 등록된 살균제이며, 해당시기에 전동분무기(ES-15DX, Koshin, Kyoto, Japan)를 이용하여(살포압력 3.0 kg/cm2) 시험구에 작물보호제지침서 기준 추천 농도로 희석 후 살포하였다.

List of pesticides applied in this study

약제 살포의 시기는 발아전(1회), 개화전(1회), 개화기(1회), 과립비대기(1회), 변색기(1~2회), 성숙기(1회) 등의 포도나무 생육단계로 구분하고, 약제 살포횟수는 농가의 관행 방제 시기와 예비실험 결과를 고려하였으며 2015년에는 6~7회(Table 2) 살포하였으나, 약제살포의 횟수를 경감하기 위하여 1년차의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2016년에는 6회(Table 3)에 걸쳐 살포 하였다. 기준배율로 희석된 농약을 m2당 0.3리터의 양을 전동분무기를 사용하여 포도나무 잎에 고르게 살포하였다.

Time table for spraying fungicides used for production of grape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5

Time table for spraying fungicides used for production of grape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6

약제 처리별 병해 발생률 및 과실의 특성 조사

선발된 약제의 병해 방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각 2015년과 2016년의 방제 일정에 따라 살포한 후 발생한 병해에 대해 발생 정도를 조사하고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  - )  ×100

약제살포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의 처리구에서 수확한 ‘캠벨얼리’와 ‘거봉’ 과실의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시험 처리구당 무작위로 선발한 과방 5개를 대상으로 하여 농사시험연구기준(RDA, 2003)에 따라 과방중, 과립중, 과피색, 당도 및 적정산도를 분석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굴절당도계(Digital Refractometer PAL-1, Atago, Japan)로 측정하였으며, 산도는 과일산도측정기(GMK-835N, G-WON HITECH, Korea)를 이용하였다. 각각의 조사는 10개의 과립을 무작위로 선발하고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농약 잔류량 분석

농약 잔류량 분석을 위한 캠벨얼리와 거봉 과실의 시료 채취는 각각 수확 예정 3일 전에 약제 처리별로 5-6송이씩 3반복으로 농약잔류분석 전문기관((주)분석기술과 미래)에 분석 의뢰하였다. 포도 시료에 대한 잔류 농약 기기분석 조건은 Table 4에 나타내었으며, 기기분석조건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농약 동시 다성분분석(MFDS, 2017)에 사용하는 기기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LC/MS/MS operation conditions for 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in grape berries


결과 및 고찰

약제 처리에 따른 이병엽율 조사

각 나라별로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약제를 대상으로 포자 발아와 균사 생장 및 발아관 신장의 억제, 균류의 세포벽 형성 억제, 에르고스테롤 생합성의 억제, 곰팡이 균사 발달의 억제, 전자전달 방해와 미토콘드리아 호흡의 억제 등의 작용점을 기준으로 살포조합을 설정하였다. 선발된 약제를 작물보호제 지침서에서 제시된 기준농도로 희석하여 생육단계에 따라 살포한 후 수확기에 갈색무늬병(Pseudocercoapora viticola),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탄저병(Colletotrichum spp.), 새눈무늬병(Elsinoe ampelina), 노균병(Plasmopara viticola), 흰가루병(Unicinula necator) 등을 조사하여 병해 방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5년도에 약제를 살포한 결과, 미국 수출을 위한 약제 살포구에서는 전체적으로 5.8-45.2%의 발병율을 보였으며, 무처리구는 37.0-97.8%의 발병율을 보였다. 가장 높은 방제 효과를 보인 약제 조합은 2번 처리구로서 86~91%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3번과 4번 처리구에서도 60% 이상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홍콩 수출을 위한 ‘캠벨얼리’ 포도 과원에서의 갈색무늬병 발병율은 무처리에서는 63.0-97.3%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는 8.8-63.5%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1번 과원에서는 대부분의 약제 살포구에서 갈색무늬병에 대해 70-90%의 높은 수준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1번처리구와 3번처리구에서 평균 90% 내외의 방제 효과가 나타났다(Table 5). 미국과 홍콩으로의 수출을 위한 2015년도 약제 처리구에서 선발된 약제조합을 2차년도 처리구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약제 살포 처리 횟수의 경우에는 미국과 홍콩 모두 7회 약제 살포구와 6회의 약제 살포구에서 방제 효과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후의 실험에서는 6회를 기준으로 약제 살포 횟수를 조정하여 약제를 살포 하였다.

Incidence and control value of leaf spot in grapevine leaves sprayed with fungicides for production of grapes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5

2016년의 약제 살포 처리구에서 잎에 발생하는 병해 방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갈색무늬병이 발생하였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2.7-82.7%의 발병율을 보였고 홍콩의 경우에는 5.7-87.0%의 발병율을 나타냈으며, 무처리구에서는 56.3-94.3%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별로 갈색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는 미국 수출을 위한 ‘캠벨얼리’ 포도에서는 4번처리구에서 양호한 방제가(60% 이상)를 나타내었으며, 홍콩 수출용 ‘캠벨얼리’ 포도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2번처리구에서는 61.9%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Table 6). ‘거봉’ 포도에서는 미국과 홍콩 수출을 위한 포도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60% 이상의 양호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미국에서는 1번처리구와 2번처리구, 홍콩에서는 1번처리구와 4번처리구에서 높은 방제효과가 나타났다(Table 6). 그러나, ‘거봉’ 포도에 있어서는 1번처리구 에서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나, ‘캠벨얼리’ 포도를 대상으로 한 시험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종합하여 검토해 보면 4번처리구가 가장 좋은 방제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cidence and control value of leaf spot in grapevine leaves sprayed with fungicides for production of grapes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6

적정한 약제 살포 횟수 구명을 위하여 5회 살포구(3번처리구)와 6회 살포구(1번, 2번, 4번처리구)를 구분하여 방제 효과를 비교한 시험에서는 6회 살포구에 비해 5회 살포구에서 방제 효과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여, 발아전(1회), 개화전(1회), 개화기(1회), 과립비대기(1회), 변색기(1회), 성숙기(1회)에 걸쳐 총 6회를 처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016년의 약제 처리구에서 수확 직전에 포도 과실에 발생하는 병해를 조사한 결과, ‘캠벨얼리’와 ‘거봉’ 포도 과원에서 탄저병의 발생이 매우 미미하여 방제 효과를 검정하는 데 사용할 수 없었다.

포도 재배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병해는 갈색무늬병, 잿빛곰팡이병, 탄저병, 새눈무늬병, 흰가루병, 노균병 등으로 본 실험에서는 갈색무늬병이 주로 관찰되었으며 다른 병해는 약간 발병하거나 발병하지 않았다. 이는 비가림시설과 수출을 목적으로 한 유대재배로 인해 발병이 적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2년에 걸쳐 진행된 미국과 홍콩으로의 수출을 위한 모든 처리구에서는 약제 처리에 의한 약흔 증상이나 약해와 같은 특이한 이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약효에도 차이가 없어서 기상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에서는 포도 비가림 재배에서 병해충의 방제를 위해 관행적으로 년간 8~12회의 약제를 살포하는 경우도 있으나(Lee et al., 2011), 본 시험의 결과에서는 6회의 농약 살포를 통해 병해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으므로 농약의 잔류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포도나무 갈색무늬병은 대체로 6월말이나 7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장마철 이후 급속히 확산되므로 이후의 신속한 약제 방제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7; Jung et al., 2009). 본 연구에서 ‘거봉’ 포도원(경산 소재)에서 ‘캠벨얼리’ 포도원(모동 및 화동 소재) 농가에 비해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적은 것은 Park et al. (2004)의 ‘캠벨얼리’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감수성인 요인이 있다는 보고와 같이 ‘거봉’과 ‘캠벨얼리’ 포도 품종간의 갈색무늬병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Lim et al. (2017)는 3년동안 진행된 주요 포도 수출단지에서의 잿빛곰팡이병, 탄저병 등 8종류의 병의 발생 현황에 관한 연구에서 5곳의 수출단지 과원에서 갈색무늬병은 해마다 발생하였으며, 지역, 관리형태, 조사 시기 등에 의해 이병률에 차이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펜헥사미드(하이드록시아니라이드계), 보스칼리드(아닐라이드계), 아족시스트로빈(스트로빌루린계), 크레속심-메틸(스트로빌루린계) 플루디옥소닐(시아노피롤계), 이프로디온(디카복시미드계) 등은 포자 및 분생자 발아와 균사 생장 및 발아관 신장을 억제하는 등의 작용점을 가진다. 또한 디메토모르프(시나믹에시드계)는 난균류의 세포벽 형성 억제하며, 마이클로뷰타닐, 디페노코나졸, 테부코나졸은 모두 트리아졸계 약제로서 에르고스테롤 생합성을 억제하며, 디페노코나졸은 곰팡이 발달을 억제하는 작용기작이 있다. 피라클로스트로빈과 트리플록시스트로빈은 스트로빌루린계통의 약제로 전자전달을 방해하여 미토콘드리아 호흡을 억제하는데, 이러한 작용점의 차이로 인해 병해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도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Macbean, 2012; Sim et al., 2005).

본 연구에서는 Jung et al. (2009)Lim et al. (2017)의 연구결과와 같이 대체적으로 갈색무늬병의 초기 발생이 낮았던 지역 및 처리구에서 수확시기의 발생율도 낮은 경향이었다. 본 연구에서도 다른 병해에 비해 갈색무늬병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약제 처리에 의해 좋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어 본시험에서 선발한 1번처리구(Table 3)의 tebuconazole, fenhexamid, iprodione, azoxystrobin, trifloxystrobin, difenoconazole 등의 약제조합과, tebuconazole, fenhexamid, tebuconazole·trifloxystrobin, myclobutanil, difenoconazole, trifloxystrobin 등의 적절한 약제 구성과 적기의 처리를 통해 70-90%의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미국과 홍콩으로 수출하는 포도를 재배하는 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약제 살포에 의한 ‘캠벨얼리’ 및 ‘거봉’ 과실의 품질 변화 분석

병해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약제 처리에 의한 ‘캠벨얼리’ 및 ‘거봉’ 과실의 생육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시험구에서 약제를 처리한 후 과실을 수확하여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2015년과 2016년에 조사된 각 과실의 특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2016년의 과실 특성 조사 결과를 Table 7에 정리하였다. ‘캠벨얼리’ 포도의 경우에 지역 및 과원에 따라 과립중, 과방중, 당도 등 과실 특성의 차이가 있었으나, 동일한 과원에서 약제를 살포한 처리구 간의 과실 특성은 큰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미국과 홍콩으로 수출하고자 하는 약제 살포구에서도 모두 같은 경향이었다.

Fruit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s harvested in vineyards sprayed for exportation to USA and Hong Kong in 2016

시험 수행기간의 기상조건으로 강수량은 2015년에는 평년에 비해 강수량이 적었으나 무처리 대조구에서 갈색무늬병의 발병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 2016년에는 6월과 8월에는 강수량이 적었고 경산지역에서는 강수량이 많았으며, 2016년 7월에는 강수량이 많았으나 모든 시험포장이 간이비가림시설로 관리되어 병발생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다. 또한 동일한 과원 내에서의 연차간의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과실 특성과 약제살포에 의한 병해 방제효과에도 기상의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거봉’ 포도에 있어서 약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미국 약제 살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약제 처리구에서 과방중과 과립중이 증가하였으며, 미국과 홍콩 약제 살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과립중은 증가하였으나 당도가 낮은 경우를 관찰하였으며, 이것은 약제 처리에 의한 성숙 또는 착색 지연이 발생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 것으로, 착색과 성숙을 확인한 후 수확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약제의 조합은 향후 방제력 작성을 위한 약제 선발과 처리에 있어서 신중히 면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잔류 농약 분석

2015년과 2016년에 약제를 살포한 각각의 처리구에서 포도 과실(‘캠벨얼리’와 ‘거봉’)을 채취하여 약제 살포 처리구의 농약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잔류 분석이 수행된 tebuconazole 외 11종의 회수율은 90~99.6%로 분석된 농약 모두 양호한 회수율이 확인되었다. 검출한계의 경우, iprodione이 0.05 ppm으로 다소 낮았으나, 농약성분의 잔류양상 평가에는 문제가 없었다. 또한 나머지 농약성분은 0.01 ppm의 검출한계를 보여 낮은 농도까지 분석 가능하였다.

사용된 모든 약제의 잔류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Table 8에 나타내었으며, 또한 미국과 홍콩에서 제시된 각각의 농약별 잔류허용기준(MRLs)도 함께 표시하였다. 각각 2015년과 2016년에 모든 시험 처리구에 살포 되었던 농약의 잔류량은 모두 미국과 홍콩의 농약잔류허용기준보다 훨씬 적은 양이며, 0.01 mg/kg 이하로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가장 많이 검출된 fenhexamid의 경우에도 0.69 mg/kg 정도로 미국(4 mg/kg)과 홍콩(15 mg/kg)의 농약잔류허용기준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농약잔류허용기준이 1 mg/kg인 myclobutanil과 kresoxim-methyl의 경우에도 각각 0.01~0.09 mg/kg와 0.01~0.05 mg/kg로 조사되었다.

Fungicide residues (mg/kg ± SD) in grapes sprayed as scheduled in 2015 and 2016

인도에서는 각기 다른 포도 재배 지역에서 생육기에 azoxystrobin (96.2% purity)은 15일 간격으로 5회 살포한 경우(Gajbhiye et al., 2011)와 tebuconazole (25.9% EC)은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경우(Kundu et al., 2014), 그리고 kresoxim-methyl (Ergon 44.3 SC)은 15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경우(Sabale et al., 2014)에서 각각의 농약을 살포하고 수확한 후 잔류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 이하로 검출되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포도에서 fenhexamid 잔류는 살포 1주일 후 초기 농도의 1/3로 빠르게 감소한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Cabras et al., 2001). Cabras와 Angioni (2000)는 pyrimethanil의 잔류는 수확 시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azoxystrobin, cyprodinil, fludioxonil, tebuconazole 등은 서로 다른 감소율을 보였다고 하였는데, 이와 같이 각각의 농약들은 본 실험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잔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 Fantke et al. (2014)은 총 333개의 농약을 대상으로 20℃의 노지상태에서 반감기를 조사하여 그 범위가 0.2일부터 31일인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본 실험에 사용된 12개 농약들의 경우는 Fantke et al. (2014)의 결과에서 확인한 결과, 최소 3.5일(azoxystrobin)부터 7.7일(fenhexamid)로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농약의 반감기는 모든 농약-식물 조합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없으며, 설사 적용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농약과 제형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낸다(Fantke et al., 2014; Fantke and Juraske, 20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결과를 고려해 보았을 때 본 연구에 사용된 농약도 적정량 사용, 살포 횟수 및 농약 처리 기간 등을 준수한다면 수출 대상국에서 제시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부적합한 농약 잔류 발생에 의한 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Teixeira et al. (2004)은 azoxystrobin, fenhexamid, tebuconazole, trifloxystrobin 등을 포함하는 14개 농약의 포도 껍질에서 과육까지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여, 모두 포르투갈과 FAO에 설정한 MRL 이하로 검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잔류 농약은 세척에 의해 70% 정도 제거될 수 있으며 물 세척에 의해 소비자에게 흡수되는 농약양은 상당량 감소될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수출용 포도 생산에는 봉지재배를 요구하고 있어서 농약잔류량이 적을 것이며, 재배시기와 재배유형에 따른 농약잔류량의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12개의 농약들은 각기 다른 계통이면서 다양한 작용점을 갖는 농약이다. 모든 처리구에서 미국과 홍콩에서 제시한 MRL 이하로 잔류가 확인되었고, 검출된 잔류량도 0.01~0.69 mg/kg으로 미비하였다. 따라서 농약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약제 내성 균주의 출현에 대한 가능성도 방지하면서 미국과 홍콩으로 수출을 목적으로 안전한 과실을 생산하고자 할 때 포도의 병해 방제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국내산 포도 재배면적이 급속히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FTA로 인한 고품질 수입 포도의 증가, 고품질의 열대과실의 수입, 먹거리의 다양화 등으로 인해 국내시장의 포도 과실 가격하락은 계속되고 있다(KREI, 2017). 국내 과실의 가격안정화를 꾀하기 위해서는 해외로의 포도 수출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포도 수출 대상국에서는 자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MRL 기준설정을 통해 안전성이 담보된 농산물을 수입하고자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포도는 다양한 병해에 감수성이며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병해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병해 방제를 위한 약제살포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고 있다. 포도 수출 촉진을 위해서는 국가별 MRL 기준에 부합하는 약제를 활용한 방제 시스템의 보급이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 선발된 약제와 처리 시기는 수출포도용 방제력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농림수산기획평가원(과제번호:617070-05)의 지원에 의해 수행된 결과입니다

Literature Cited

  • Bakirci, G. T., D. B. Yaman Acay, F. Bakirci, S. Ötleş, (2014),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from the Aegean region, Turkey, Food Chem., 160(1), p379-392.
  • Cabras, P., and A. Angioni, (2000), Pesticide residues in grapes, wine, and their processing products, J. Agric. Food Chem., 48(4), p967-973. [https://doi.org/10.1021/jf990727a]
  • Cabras, P., A. Angioni, V. L. Garau, F. M. Pirisi, F. Cabitza, M. Pala, and G. A. Farris, (2001), Fenhexamid residues in grapes and wine, Food Addit. Contam., 18(7), p625-629. [https://doi.org/10.1080/02652030110038054]
  • Čuš, F., H. B. Česnik, Š. V. Bolta, and A. Gregorčič, (2010), Pesticide residues in grapes and during vinification process, Food Control, 21(11), p1512-1518. [https://doi.org/10.1016/j.foodcont.2010.04.024]
  • Eissa, F. I., A. A. Helalia, M. A. Khorshed, and M. A. El-Sisi, (2013), Monitoring of multi-class pesticide residues in green grape and their potential risk for Egyptian consumer, Nat. Sci., 11(11), p110-115.
  • Fantke, P., and R. Juraske, (2013), Variability of pesticide dissipation half-lives in plants, Environ. Sci. Technol., 47(8), p3548-3562. [https://doi.org/10.1021/es303525x]
  • Fantke, P., B. W. Gillespie, R. Juraske, and O. Jolliet, (2014), Estimating half-lives for pesticide dissipation from plants, Environ. Sci. Technol., 48(15), p8588-8602. [https://doi.org/10.1021/es500434p]
  • Gajbhiye, V. T., S. Gupta, I. Mukherjee, S. B. Singh, N. Singh, P. Dureja, and Y. Kumar, (2011), Persistence of azoxystrobin in/on grapes and soil in different grapes growing areas of India, Bull. Environ. Contam. Toxicol., 86(1), p90-94. [https://doi.org/10.1007/s00128-010-0170-2]
  • Grimalt, S., and and P. Dehouck, (2016), Review of analytical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residues in grapes, J. Chromatogra. A., 1433, p1-23. [https://doi.org/10.1016/j.chroma.2015.12.076]
  • Hjorth, K., K. Johansen, B. Holen, A. Andersson, H.B. Christensen, K. Siivinen, and M. Toome, (2011),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from South America - A Nordic project, Food Control, 22(11), p1701-1706. [https://doi.org/10.1016/j.foodcont.2010.05.017]
  • Jung, S. M., J. H. Park, S. J. Park, H. C. Lee, J. W. Lee, and M. S. Ryu, (2009), Regional differences of leaf spot disease on grapevine cv. ‘Campbell Early’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in plastic green house, Res. Plant Dis., 15(3), p193-197. [https://doi.org/10.5423/rpd.2009.15.3.193]
  • aT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operation), (2016), https://www.atfis.or.kr/fip/file /download.do?fileId=10248.
  • KATI (Korea Agriculture Trade & Information Center), (2017a), http://www.kati.net/statistics/periodPerformance.do. Accessed 31 January 2017.
  • KATI, (2017b), Hong Kong MRLs, https://www.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 _seq=55649&menu_dept2 =35&menu_dept3=76. Accessed 31 January 2017.
  • Kim, G.-H., J. S. Cha, J. H. Park, H. R. Kim, and K.-S. Ahn, (2007), Grapevine leaf spot, In: Grape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Korea, published by Korea Grape Research Projects Group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26-28.
  •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Fruits production (Grapes),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F. Accessed 22 November 2017.
  •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7), Agricultural Outlook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p509-516.
  • Kundu, C., A. Goon, and A. Bhattacharyya, (2014), Persistence behaviour of fungicide tebuconazole in a viticulture application, Bull. Environ. Contam. Toxicol., 92(4), p415-419. [https://doi.org/10.1007/s00128-014-1223-8]
  • Lagunas-Allué, L., J. Sanz-Asensio, and M. T. Martínez-Soria, (2015), Mobility and distribution of eight fungicides in surface, skin and pulp in grapes. An application to pyraclostrobin and boscalid, Food Control, 51(1), p85-93. [https://doi.org/10.1016/j.foodcont.2014.10.028]
  • Lee, C. R., J. H. Hong, J. S. Lim, and K. S. Lee, (2011), Residue patterns of azoxystrobin and cyenopyrafen in grape between rainshelter and plastic house conditions, Korean J. Pestic. Sci., 15(2), p97-103.
  • Lee, J. B., S.-M. Hong, H.-Y. Kwon, A.-S. You, S.-S. Hong, and Y. Ihm, (2014), Safety evaluation of pesticide residue in five fruits by dietary risk index, Korean J. Pestic. Sci., 18(4), p336-341. [https://doi.org/10.7585/kjps.2014.18.4.336]
  • Lentza-Rizos, C., E. J. Avramides, and K. Kokkinaki, (2006), Residues of azoxystrobin from grapes to raisins, J. Agric. Food Chem., 54(1), p138-141. [https://doi.org/10.1021/jf051821w]
  • Lim, T. H., S. J. Lee, C. M. Lee, J. S. Song, S. S. Han, and D. W. Lee, (2017), Survey on the occurrence of diseases in grapevine export complexes and the fruit for export in Korea, J. Agric. Life Sci., 51(2), p61-71. [https://doi.org/10.14397/jals.2017.51.2.61]
  • MacBean, C., (2012), The e-Pesticide Manual: A World Compendium, Version 5.2, Fifteenth Edition;,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 MAFRA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6), Statistics of agriculture, food, forestry, and fisher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p74.
  •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Agricultural products codex pesticide analytical manual,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4-28.
  • Neff, R. A., J. C. Hartle, L. I. Laestadius, K. Dolan, A. C. Rosenthal, and K. E. Nachman, (2012), A comparative study of allowable pesticide residue levels on produce in the United States, Global Health, 8, p2-14. [https://doi.org/10.1186/1744-8603-8-2]
  • Park, J. H., K. S. Han, J. S. Lee, S. T. Seo, H. I. Jang, and H. T. Kim, (2004), Occurrence tendency and decrease of fruits brix according to increasing grapevine leaf spot disease caused by Pseudocercospora vitis, Res. Plant Dis., 10, p341-344. [https://doi.org/10.5423/rpd.2004.10.4.341]
  • Poulsen, M. E., H. K. Hansen, J. J. Sloth, H. B. Christensen, and J. H. Andersen, (2007), Surveyof pesticide residues in table grapes: Determination of processing factors, intake and risk assessment, Food Addit. Contam., 24(8), p886-895. [https://doi.org/10.1080/02652030701245320]
  •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3), 4Th Manual for agricultural investig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549-555.
  • RDA, (2017), Pesticide Use and Safety Information for exportable grape to USA,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Main.ps?menuId=PS03949. Accessed 3 January 2018.
  • Sabale, R., T. P. A. Shabeer, S. C. Utture, K. Banerjee, M. R. Jadhav, D. P. Oulkar, P. G. Adsule, and M. B. Deshmukh, (2014), Dissipation kinetics, safety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pre-harvest interval (PHI) and processing factor for kresoxim methyl residues in grape, Environ. Monit. Assess., 186(4), p2369-2374. [https://doi.org/10.1007/s10661-013-3544-1]
  • Sim, L. S., and J. W. Kim, (2005), Target Functions and Sites of Pesticide, In Pesticide science, Sim, L. S., Eds; World Science, Seoul, p79-133.
  • Teixeira, M. J., A. Aguiar, C. M. Afonso, A. Alves, and M. M. S. Bastos, (2004), Comparison of pesticides levels in grape skin and in the whole grape by a new liquid chromatographic multiresidue methodology, Anal. Chim. Acta, 513(1), p333-340. [https://doi.org/10.1016/s0003-2670(03)01573-3]

Fig. 1.

Fig. 1.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f Gyeongsan (A) and Sangju (B) region from 2015 to 2016. Scores of weather condition represent averages from the data for the latest 30 years.

Table 1.

List of pesticides applied in this study

Pesticide Active ingredient (%) Dilution rate Coverage of diseases Brand name
a)Suspension concentrate
b)Wettable powders
c)Water dispersible granule
Azoxystrobin (SC)a) 21.7 2,000 Downy mildew Otiba (Syngenta)
Azoxystrobin (WP)b) 10 1,000 Downy mildew, leaf spot, ripe rot, bird's-eye rot Amista (Syngenta)
Azoxystrobin·
Difenoconazole (SC)
10
11.3
4,000 Ripe rot, leaf spot Amistatop (Syngenta)
Boscalid·
Pyraclostrobin (WG)c)
13.6
6.8
2,000 Ripe rot Bellisplus (Kyung nong)
Difenoconazole (SC) 10 2,000 Ripe rot, leaf spot, bird's-eye rot Purmi (Dongbu)
Difenoconazole (WG) 10 2,000 Ripe rot, leaf spot, bird's-eye rot Boguard (Syngenta)
Dimethomorph·
Pyraclostrobin (SC)
16
9.5
2,000 Ripe rot, leaf spot, downy mildew Casting (DongbangAgro)
Fenhexamid (SC) 42 1,000 Grey mould Teldor (Bayer)
Fenhexamid·
Tebuconazole (SC)
30.5
5.8
1,500 Grey mould, ripe rot, leaf spot, bird's-eye rot Tibraec (Kyung nong)
Fludioxonil (SC) 20 2,000 Grey mould, ripe rot Sapphire (Syngenta)
Iprodione (SC) 43 1,000 Grey mould Robral (Sungbo Chem.)
Kresoxim-methyl (WG) 50 3,000 Leaf spot, downy mildew Haebeach (Sungbo Chem.)
Myclobutanil (WP) 6 1,500 Powdery mildew Cysten (Kyung nong)
Tebuconazole (WP) 25 2,000 Grey mould, ripe rot Silvacur (Bayer)
Tebuconazole·
Trifloxystrobin (SC)
20
10
3,000 Ripe rot Nativo (Bayer)
Trifloxystrobin (SC) 22 2,000 Ripe rot, leaf spot, bird's-eye rot Print (Bayer)

Table 2.

Time table for spraying fungicides used for production of grape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5

Spraying Cont. USA Hong Kong (HK) USA/HK
Rep. 1 Rep. 2 Rep. 3 Rep. 1 Rep. 2 Rep. 3 Rep. 4
1st Early-April (Pre-budding)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2nd Mid-May (Pre-bloom) Fenhexamid (SC) Fludioxonil (SC) Fenhexamid·
Tebuconazole (SC)
Fludioxonil (SC) Fenhexamid (SC) Fenhexamid·
Tebuconazole (SC)
Fenhexamid (SC) Fenhexamid (SC)
3th Early-June (Flowering) Iprodione (WP) Iprodione (WP) Boscalid·
Pyraclostrobin (WG)
Iprodione (WP) Trifloxystrobin (SC) Trifloxystrobin (SC) Iprodione (WP) Iprodione (WP)
4th Last-June (Berry enlargement stage) Azoxystrobin (WP) Trifloxystrobin (SC) Azoxystrobin (WP) Fenhexamid·
Tebuconazole (WP)
Azoxystrobin (WP) Fenhexamid·
Tebuconazole (SC)
Myclobutanil (WP)
5th Early-July (Veraison) - - Dimethomorph·
Pyraclostrobin (SC)
- - Trifloxystrobin (SC) -
6th Mid-July (Veraison) Trifloxystrobin (SC) Difenoconazole (WG) Trifloxystrobin (SC) Azoxystrobin (WP) Trifloxystrobin (SC) Azoxystrobin (WP) Kresoxim-methyl (WG)
7th Early-August (Maturation) Boscalid·
Pyraclostrobin (WG)
Azoxystrobin (WP) Azoxystrobin·
Difenoconazole (SC)
Dimethomorph·
Pyraclostrobin (SC)
Azoxystrobin·
Difenoconazole (SC)
Dimethomorph·
Pyraclostrobin (SC)
Trifloxystrobin (SC)

Table 3.

Time table for spraying fungicides used for production of grape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6

Spraying Cont. USA Hong Kong (HK) USA/HK
Rep. 1 Rep. 2 Rep. 3 Rep. 1 Rep. 2 Rep. 3 Rep. 4
1st Mid-April (Pre-budding)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Tebuconazole (WP)
2nd Mid-May (Pre-bloom) Fenhexamid (SC) Fenhexamid·
Tebuconazole (SC)
Fenhexamid·
Tebuconazole (SC)
Fenhexamid (SC) Fenhexamid·
Tebuconazole (SC)
Fenhexamid (SC) Fenhexamid (SC) Fenhexamid (SC)
3th Early-June (Flowering) Iprodione (SC) Difenoconazole (SC) - Iprodione (SC) Trifloxystrobin (SC) Trifloxystrobin (SC) Tebuconazole·Tri floxystrobin (SC)
4th Last-June (Berry enlargement stage) Azoxystrobin·
Difenoconazole (SC)
Trifloxystrobin (SC) Iprodione (SC) Azoxystrobin·
Difenoconazole (SC)
Fenhexamid·
Tebuconazole (SC)
- Myclobutanil (WP)
5th Mid-July (Veraison) Trifloxystrobin (SC) Azoxystrobin (SC) Trifloxystrobin (SC) Trifloxystrobin (SC) Azoxystrobin (WP) Fenhexamid·
Tebuconazole (SC)
Difenoconazole (WG)
6th Early-August (Maturation) Azoxystrobin·
Difenoconazole (SC)
Difenoconazole (WP) Azoxystrobin (SC) Azoxystrobin·
Difenoconazole (SC)
Dimethomorph·
Pyraclostrobin (SC)
Dimethomorph·
Pyraclostrobin (SC)
Trifloxystrobin (SC)

Table 4.

LC/MS/MS operation conditions for residue analysis of pesticides in grape berries

LC Condition
System AB SCIEX TQ 3500 LC/MS/MS system, Agilent HPLC 1200 series
Column Capcell PAK, MGII, C18, 2.0 × 100 mm, 3 um (Shiseido, Japan)
Flow rate 0.2 mL/min
Injection volumn 2 μl
Mobile phase A : DW (5 mM Ammonium Formate, 0.1% Formic Acid)
B : MeOH (5 mM Ammonium Formate, 0.1% Formic Acid)
Gradient Time (min) A (%) B (%)
0.0 85 15
1.0 85 15
1.5 40 60
10.0 10 90
15.0 10 90
25.0 2 98
25.1 85 15
30.0 85 15
MS Condition
Ion source Turbo Spray ESI
Gas Temperature 400℃
Curtain gas 20 psi
Collision gas 9 psi
Ion spray voltage 5500 V
Gas 1 50 psi
Gas 2 45 psi

Table 5.

Incidence and control value of leaf spot in grapevine leaves sprayed with fungicides for production of grapes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5

Country Treat. Campbell Early Kyoho
Vineyard 1 Vineyard 2 Vineyard 3
Infected leaves (%) Control value (%) Infected leaves (%) Control value (%) Infected leaves (%) Control value (%)
a)Means ± SD. Mean sepe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USA Cont. 93.2 ± 4.3aa) - 97.8 ± 1.2a - 37.0 ± 4.0a -
1 45.2 ± 8.8b 51.5 39.7 ± 5.2b 59.4 14.5 ± 2.6b 60.8
2 7.5 ± 1.3c 91.9 13.7 ± 6.3c 86.0 6.3 ± 3.3b 83.0
3 24.7 ± 13.7c 73.5 34.3 ± 11.1b 64.9 12.7 ± 7.8b 65.7
4. 24.7 ± 6.0c 73.5 30.5 ± 11.4b 68.8 5.8 ± 3.3b 84.3
Hong Kong Cont. 92.0 ± 5.7a - 97.3 ± 4.6a - 63.0 ± 4.8a -
1 9.8 ± 1.4c 89.3 13.8 ± 11.3c 85.8 16.8 ± 4.8bc 73.3
2 26.0 ± 10.5b 71.7 63.0 ± 14.8b 35.3 20.7 ± 5.4b 67.1
3 8.8 ± 0.3c 90.4 9.3 ± 6.0c 90.4 14.5 ± 4.9bc 77.0
4 13.2 ± 3.3c 85.7 63.5 ± 29.4b 34.7 8.8 ± 1.6c 86.0

Table 6.

Incidence and control value of leaf spot in grapevine leaves sprayed with fungicides for production of grapes exportable to USA and Hong Kong in 2016

Country Treat. Campbell Early Kyoho
Vineyard 1 Vineyard 2 Vineyard 3
Infected leaves (%) Control value (%) Infected leaves (%) Control value (%) Infected leaves (%) Control value (%)
a)Means ± SD. Mean sepe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USA Cont. 94.3 ± 2.5aa) - 86.7 ± 7.8a - 56.5 ± 13.4a -
1 54.8 ± 5.8c 41.9 61.8 ± 6.0b 28.7 2.8 ± 1.4c 95.0
2 47.5 ± 3.5c 49.6 33.0 ± 1.8c 61.9 2.7 ± 1.4c 95.3
3 80.3 ± 3.8b 14.8 82.7 ± 2.3a 4.6 21.0 ± 10.8b 62.8
4. 35.0 ± 4.0d 62.9 33.3 ± 2.8c 61.5 6.7 ± 2.8c 88.2
Hong Kong Cont. 94.3 ± 2.5a - 86.7 ± 7.8a - 56.5 ± 13.4a -
1 68.7 ± 7.1b 27.2 69.0 ± 2.3b 20.4 5.7 ± 2.8b 90.0
2 84.8 ± 4.4a 10.1 80.0 ± 1.5a 7.7 22.0 ± 13.3b 61.1
3 85.7 ± 9.3a 9.2 87.0 ± 0.5a (0.4) 17.2 ± 10.1b 69.6
4 35.0 ± 4.0c 62.9 33.3 ± 2.8c 61.5 6.7 ± 2.8b 88.2

Table 7.

Fruit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and ‘Kyoho’ grapes harvested in vineyards sprayed for exportation to USA and Hong Kong in 2016

Country Vineyard Treat. Cluster weight (g) Berry weight (g) Berry skin color Soluble solids (°Bx) Acidity (%)
a)Means ± SD. Mean sepe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USA 2
(Campbell Early)
Cont. 358 ± 61.3aa) 5.5 ± 0.5a* Black 18.1 ± 0.9a* 0.98 ± 0.11a*
1 433 ± 36.0a 6.1 ± 1.1a Black 17.0 ± 1.8a 1.01 ± 0.09a
2 394 ± 17.7a 6.0 ± 0.8a Black 17.9 ± 1.1a 0.92 ± 0.15a
3 382 ± 41.8a 5.2 ± 0.3a Black 17.8 ± 0.5a 1.04 ± 0.10a
4 422 ± 40.4a 5.7 ± 0.7a Black 19.2 ± 0.4a 0.83 ± 0.03a
3
(Kyoho)
Cont. 403 ± 34.0a 13.8 ± 1.7b Purple black 20.2 ± 0.5a 0.73 ± 0.30a
1 521 ± 45.7a 16.8 ± 0.1a Purple black 17.7 ± 2.4ab 0.81 ± 0.28a
2 481 ± 80.6a 14.5 ± 1.8ab Purple black 19.0 ± 2.0ab 0.74 ± 0.20a
3 453 ± 70.9a 14.4 ± 1.0ab Purple black 17.6 ± 2.1ab 0.77 ± 0.13a
4 524 ± 76.5a 14.0 ± 1.6b Purple black 16.2 ± 0.8b 0.81 ± 0.06a
Hong Kong 2
(Campbell Early)
Cont. 358 ± 61.3a 5.5 ± 0.5b Black 18.1 ± 0.9a 0.98 ± 0.11ab
1 433 ± 36.0a 6.7 ± 1.1a Black 17.0 ± 1.8a 0.83 ± 0.11b
2 394 ± 17.7a 5.5 ± 0.8b Black 17.9 ± 1.1a 0.95 ± 0.07ab
3 382 ± 41.8a 5.8 ± 0.3ab Black 17.8 ± 0.5a 1.04 ± 0.08a
4 421 ± 114.8a 5.7 ± 0.7ab Black 19.2 ± 0.4a 0.83 ± 0.03b
3
(Kyoho)
Cont. 403 ± 34.0a 13.8 ± 1.7a Purple black 20.2 ± 0.5a 0.73 ± 0.30a
1 502 ± 101.0a 14.5 ± 0.6a Purple black 17.6 ± 2.5ab 0.89 ± 0.18a
2 433 ± 75.0a 14.7 ± 2.4a Purple black 17.6 ± 1.0ab 0.72 ± 0.06a
3 414 ± 55.2a 14.8 ± 0.1a Purple black 18.7 ± 1.3ab 0.89 ± 0.18a
4 524 ± 76.5a 14.0 ± 1.6a Purple black 16.2 ± 0.8b 0.81 ± 0.06a

Table 8.

Fungicide residues (mg/kg ± SD) in grapes sprayed as scheduled in 2015 and 2016

Vineyard Treat Year Tebuconazol Fenhexamid Iprodione Azoxystrobin Trifloxystrobin Difenoconazole Pyraclostrobin Myclobutanil Dimethomorph Fludioxonil Boscalid Kresoximmethyl
aMaximum Residue Limit (mg/kg)
1
(Campbell Early)
Cont. 2015 <0.01 <0.01 <0.05 - - - - - - - - -
2016 <0.01 <0.01 - - - - - - - - - -
1 2015 0.01 ± 0.00 0.20 ± 0.08 <0.05 0.17 ± 0.03 0.02 ± 0.02 - <0.01 - <0.01 <0.01 <0.01 -
2016 <0.01 <0.01 0 0.29 ± 0.48 0.12 ± 0.00 0.01 ± 0.00 - - - - - -
2 2015 <0.01 <0.01 - <0.01 0.09 ± 0.06 <0.01 <0.01 - - - <0.01 -
2016 <0.01 0.02 ± 0.01 - 0.09 ± 0.00 0.03 ± 0.02 <0.01 <0.01 - <0.01 - - -
3 2015 <0.01 0.10 ± 0.02 <0.05 0.20 ± 0.11 <0.01 <0.01 <0.01 - <0.01 <0.01 - -
2016 <0.01 0.03 ± 0.02 0 <0.01 0.01 ± 0.00 - <0.01 - <0.01 - - -
4 2015 <0.01 <0.01 <0.05 - <0.01 - - 0.01 ± 0.01 - - - <0.01
2016 <0.01 <0.01 - - 0.01 ± 0.00 <0.01 - 0.01 ± 0.01 - - - -
2
(Campbell Early)
Cont. 2015 <0.01 <0.01 <0.05 - - - - - - - - -
2016 <0.01 <0.01 - - - - - - - - - -
1 2015 <0.01 0.01 ± 0.01 <0.05 <0.01 <0.01 - 0.05 ± 0.03 - <0.01 <0.01 <0.01 -
2016 <0.01 0.20 ± 0.08 0 0.08 ± 0.03 <0.01 0.02 ± 0.00 - - - - - -
2 2015 <0.01 <0.01 - <0.01 <0.01 <0.01 <0.01 - - - <0.01 -
2016 <0.01 0.03 ± 0.01 - 0.02 ± 0.01 0.03 ± 0.01 <0.01 <0.01 - <0.01 - - -
3 2015 0.01 ± 0.00 0.06 ± 0.08 <0.05 0.04 ± 0.01 0.04 ± 0.03 <0.01 0.13 ± 0.03 - 0.11 ± 0.04 <0.01 - -
2016 <0.01 0.01 ± 0.00 0 0.01 ± 0.00 0.01 ± 0.00 - <0.01 - <0.01 - - -
4 2015 <0.01 <0.01 <0.05 - <0.01 - - <0.01 - - - <0.01
2016 <0.01 <0.01 - - 0.01 ± 0.00 <0.01 - 0.01 ± 0.01 - - - -
3
(Kyoho)
Cont. 2015 0.08 ± 0.01 0.62 ± 0.05 <0.05 - - - - - - - - -
2016 <0.01 <0.01 - - - - - - - - -
1 2015 0.02 ± 0.02 <0.01 <0.05 0.05 ± 0.05 0.03 ± 0.03 - 0.06 ± 0.05 - <0.01 <0.01 0.01 ± 0.01 -
2016 0.02 ± 0.00 <0.01 0 0.14 ± 0.01 0.09 ± 0.00 0.01 ± 0.00 - - - - - -
2 2015 <0.01 <0.01 - <0.01 <0.01 <0.01 <0.01 - - - <0.01 -
2016 <0.01 0.02 ± 0.01 - <0.01 0.03 ± 0.01 <0.01 <0.01 - <0.01 - - -
3 2015 0.05 ± 0.06 0.69 ± 0.28 <0.05 0.22 ± 0.09 0.02 ± 0.02 0.09 ± 0.01 0.22 ± 0.10 - 0.20 ± 0.08 <0.01 - -
2016 0.06 ± 0.00 0.04 ± 0.00 0 0.01 ± 0.00 0.02 ± 0.00 - 0.03 ± 0.00 - 0.10 ± 0.00 - - -
4 2015 0.08 ± 0.02 0.60 ± 0.21 <0.05 - 0.15 ± 0.07 - - 0.09 ± 0.01 - - - 0.05 ± 0.03
2016 <0.01 <0.01 - 0.01 ± 0.00 <0.01 - 0.01 ± 0.01 - - - -
MRLa: USA/Hong Kong 5/2 4/15 60/20 2/10 2/3 4/4 2/2 1/1 3/2 2/2 5/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