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 ORIGINAL ARTICLES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Vol. 22, No. 4, pp.292-299
ISSN: 1226-6183 (Print) 2287-205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1 Aug 2018 Revised 10 Oct 2018 Accepted 16 Nov 2018
DOI: https://doi.org/10.7585/kjps.2018.22.4.292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 토양 및 과실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 잔류량 조사

임성진 ; 박정훤 ; 노진호 ; 오영탁 ; 주형곤 ; 이민호 ; 윤효인 ; 최근형 ; 류송희 ; 박병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화학물질안전과
Investigation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rape and Peach Orchard Soils and Fruits
Sung-Jin Lim ; Jeong-Hwon Park ; Jin-Ho Ro ; Young-Tak Oh ; Hyeong-Gon Joo ; Min-Ho Lee ; Hyo-In Yoon ; Geun-Hyoung Choi ; Song-Hee Ryu ; Byung-Jun Park*
Chemical Safet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Wanju 55365,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Email: bjpark@korea.kr Contributed by footnote: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 토양 및 과실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과수원 토양 및 과실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분석을 위한 추출 및 정제는 QuEChERS 방법을 다소 개선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과수원 토양 및 농산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의 회수율은 각각 76.4-101.2 및 76.4-90.4%, 검출한계는 각각 0.01-0.08와 0.2-0.4 mg/kg 수준이었다. 과수원 토양에서 2,4-DDT, 4,4-DDE, 4,4-DDT 및 endosulfan sulfate 4개 성분만이 각각 3.3, 2.3-7.1, 4.5 및 19.2-73.4 mg/k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모든 과실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 토양이 농산물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rape and peach orchard and fruits. Extraction and clean-up method were developed using the modified QuEChERS method for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ROCPs) in orchard soil and fruits. Recovery and limit of detection (LOD) of ROCPs in soil and fruits were 76.4-101.2 and 76.4-90.4%, 0.01-0.08 and 0.2-0.4 μg/kg, respectively. Detected ROCPs in grape and peach orchard soil was 2,4-DDT, 4,4-DDE, 4,4-DDT, and endosulfan sulfate, the residues were 3.3, 2.3-7.1, 4.5, and 19.2-73.4 μg/kg, respectively. But four pesticides in all fruit samples were not detected. These results showed that ROCPs residues in grape and peach orchard soil had no effect on 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Keywords:

Grape, Peach,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키워드:

포도, 복숭아,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서 론

포도(Vitis vinifera)는 갈대나무목(Rhamnales) 포도과(Vitaceae)의 덩굴성과수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자생하며 일부는 온대지방까지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매년 6,900만톤 이상이 생산되고, 우리나라에서는 경기, 경북을 중심으로 2017년 현재 11,147 ha가 재배되고 있다(Choi et al., 2005; Jang et al., 2015; KOSTAT, 2017). 포도에는 linoleic acid를 포함한 불포화 지방산, 토코페롤 및 카테킨류, proanthocyanidin 등의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이들은 혈관계 질환, 항산화, 항암 및 항균 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Yamakoshi et al., 1999; Bagchi et al., 2000; Gabetta et al., 2000; Jang and Han, 2002; Chung and Pack, 2003; Jayaprakasha et al., 2003; Fernandes et al., 2013).

복숭아(Prunus persica)는 장미과 자두속에 속하는 낙엽, 교목성 과수로 중국이 원산지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성숙기에 강우량이 적은 경북, 경남, 충남,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2017년 현재 21,015 ha가 재배되고 있다(Park et al., 1999; Kim et al., 2009; KOSTAT, 2017). 복숭아에는 가식부 100 g 당 단백질 1.2 g, 지질 0.2 g, 당질 7.6 g, 섬유소 0.6 g, 회분 0.4 g, 칼슘 6 mg, 인 20 mg, 철, 0.5 mg, 나트륨 2 mg, 칼륨 189 mg, 베타카로틴 12 μg, 비타민 B1 0.02 mg, 비타민 B2 0.02 mg, 비타민 C 6 mg 등 다양한 영양성분과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변비, 혈전 제거 및 혈행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2007; Youn et al., 2010).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ROCPs)는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중 분자 내에 염소(Cl)를 함유하고 있으며 농약으로 사용된 물질로, 국내에서는 aldrin, endrin, dieldrin, toxaphene, heptachlor, hexachlorobenzene (HCB),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α-hexachlorocyclohexane (HCH), β-HCH, pentachlorobenzene (PeCB) 및 endosulfan 11종이 살충제로 등록되어 사용된 바 있다(Lim et al., 2016a; Lim et al., 2017a). 이들 중 dieldirn 및 endosulfan (α-endosulfan, β-endosulfan, endosulfan sulfate)류는 시설재배지, 농경지(논, 밭) 및 농업용수에서 꾸준히 검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과수원을 대상으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에 대한 모니터링 조사는 실시된 바 없다(Lee et al., 2015; Lim et al., 2016a, 2016b, 2016c: Lim et al., 2017a, 2017b).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과수원의 잔류성유 기염소계 농약류에 의한 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양성분과 기능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꾸준히 소비되고 있는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을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잔류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약 및 표준품

실험에 사용한 acetone은 J.T. Baker (New Jersey, USA) 사의 잔류농약분석용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activated carbon, magnesium sulfate, sodium chloride 및 sodium citrate는 Sigma-Aldrich (Saint Louis, USA), Q-sep®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QuEChERS) 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ion (dSPE, 150 mg magnesium sulfate, 50 mg primary secondary amine (PSA), 50 mg C18, 2 mL)은 Restek (Pennsylvania, USA)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aldrin, dieldrin, endrin, α-endosulfan, β-endosulfan, endosulfan sulfate, α-HCH, β-HCH, γ-HCH, δ-HCH, hexachloro benzene, heptachlor, heptachlor epoxide, 2,4-DDE, 4,4-DDE, 2,4-DDD, 4,4-DDD, 2,4-DDT 및 4,4-DDT 표준품은 순도 97% 이상의 Dr. Ehrenstorfer GmbH (Augsburg, Germany)사의 제품을 구입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시료채취 및 조제

본 연구에서는 과수원(포도, 복숭아) 토양 및 과실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토양시료는 2017년 4-6월에 경상북도 등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8개도에서 각각 62 및 65점을 토양시 료채취기로 각 과수원의 10개 지점에서 10 cm 깊이로 100-200 g을 채취하여 혼화한 다음 음건하고, 이를 2 mm 체를 통과시켜 시료로 사용하였고, 과실 시료는 7-8월에 잔류성 유기염소계 농약이 50 μg/kg 이상으로 검출된 과수원 토양에서 재배된 과실만을 대상으로 포도 2점, 복숭아 3점을 Lim et al. (2016a, 2016b, 2016c, 2017a)의 방법에 따라 채취하고, 이를 믹서기로 분쇄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분석

과수원 토양 및 과실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분석을 위한 전처리는 Lim et al. (2016a, 2016b, 2016c, 2017a)의 QuEChERS 방법을 다소 변형한 방법을 사용하였다(Fig. 1). 토양 (50 g)을 삼각플라스크에 넣은 후 magnesium sulfate (20 g), sodium chloride (5 g) 및 sodium citrate (5 g)를 첨가하고, acetone을 가하여 2회(100+50 mL) 진탕·추출(2 hr)한 다음 여과하였다. 이를 40oC에서 감압 농축한 다음 4 mL acetonitrile로 재용해하고, 1.5 mL를 취하여 QuEChERS dSPE Tube에 가하였다. QuEChERS dSPE Tube를 5분간 진탕한 다음 10분간 원심분리(3,000 rpm, Combi 514R, Hanil, Incheon, Korea)하고, 상등액을 여과(syringe filter, 0.22 μm)한 후 gas chromatography (GC,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USA)-micro electron capture detector (μECD)로 Table 1의 기기조건에서 분석하였다.

Fig. 1.

Flow chart for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oil (left) and fruit (right).

Analytical conditions (GC-μECD) for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포도 및 복숭아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류의 잔류량은 과수원 토양을 분석한 후 검출된 농약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포도 및 복숭아 10 g을 칭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옮긴 후 sodium chloride (1 g), sodium citrate (1 g) 및 activated carbon (1 g)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acetone으로 2회(100+ 50 mL) 진탕·추출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액을 40oC에서 감압 농축하고 4 mL acetonitrile로 재 용해한 다음 1.5 mL를 취하여 QuEChERS dSPE Tube에 가하였다. QuEChERS dSPE Tube를 5분간 진탕한 다음 10분간 원심분리하고, syringe filter (0.22 μm)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여과한 후 GC-μECD로 분석하였다(Table 1, Fig. 1). GC-μECD 분석을 통해 확인된 토양 및 과실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성분에 대해서는 GC-quadrupole time of flight (QTOF)-mass spectrometry (MS) (Pegasus HT, LECO, Michigan, USA)로 동일성분임을 재확인하였다(Table 2).

Analytical conditions (GC-QTOF-MS) for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분석법의 유효성

과수원 토양 및 과실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19종의 잔류량 확인을 위한 분석법의 유효성은 검량선의 직선성, 검출한계(limits of detection, LOD), 회수율 및 상대표준편 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로 검증하였다. 검량선의 직선성은 조사대상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19종을 각각 100 mL acetone에 용해하여 100 mg/L의 stock solution을 제조하고, 효율적인 분석을 위하여 2개의 그룹(Group I (10종): α-HCH, β-HCH, γ-HCH, δ-HCH, α-endosulfan, β-endosulfan, endosulfan sulfate, endrin, 4,4-DDE 및 2,4-DDT, Group II (9종): Aldrin, dieldrin, HCB, heptachlor, heptachlorepoxide, 2,4-DDD, 2,4-DDE, 4,4-DDD 및 4,4-DDT)으로 나누어 stock solution을 희석·혼합하여 1-5,000 μg/L의 혼합표준용액을 제조한 다음 Table 1의 기기조건에서 분석하여 작성한 검량선의 상관계수(relative coefficient, R2)로 확인하였다(Lim et al., 2016a, 2016b, 2016c, 2017a, 2017b).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각 성분의 LOD는 S/N비 (signal to noise ratio)가 3.3이 되는 농도로 하여 아래 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LOD (mg/kg)=(ng)×(mL)(µL)×(g)

토양 회수율 시험은 Fig. 1의 전처리 방법, Table 12의 기기분석 조건에서 시험대상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토양 50 g에 Group I 및 II 혼합표준용액을 각각 저농도(4 μg/kg) 및 고농도(20 μg/kg) 수준으로 처리한 후 토양에 충분히 결합될 수 있도록 24시간(암조건) 동안 방치한 다음 Fig. 1의 방법에 따라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Lim et al., 2016a). 과실 중 회수율 시험은 토양시료에서 검출된 endosulfan sulfate, 2,4-DDT, 4,4-DDT 및 4,4-DDE 만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포도 및 복숭아 10 g에 토양에서 검출된 4 성분을 저농도(10 μg/kg) 및 고농도(50 μg/kg) 수준으로 처리한 다음 Fig. 1의 방법에 따라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회수율은 각 성분의 검량선에 대입하여 산출한 농도와 첨가농도의 비로부터 구하였고, 분석기기의 실험실 내 정밀성(intermediate precision) 시험은 5회 반복하여 실시한 다음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로 검증하였다.


결과 및 고찰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머무름 시간은 Fig.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룹 I 성분 α-HCH 34.33, β-HCH 37.75, γ-H CH 38.37, δ-HCH 41.46, α-endosulfan 60.97, 4,4-DDE 64.73, endrin 67.22, β-endosulfan 68.20, 2,4-DDT 69.43 및 endosulfan sulfate 71.91분, 그룹 II 성분 hexachloro benzene 35.11, heptachlor 47.04, aldrin 51.26, heptachlor epoxide 56.53, 2,4-DDE 60.52, dieldrin 64.43, 2,4-DDD 65.89, 4,4-DDD 69.22 및 4,4-DDT 72.40분이었고, 각 성분에 대한 검량선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93으로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Fig. 2.

Representative standard (A), recovery in soil (B), recovery in grape and peach (C), and soil and fruit sample chromatograms (D)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그룹 I과 그룹 II의 토양 중 회수율과 RSD는 각각 82.0-101.2와 76.4-93.4%, 1.6-3.8과 1.6-4.0% 범위이었으며, LOD는 0.01-0.08 μg/kg 범위로 나타났 다(Table 3). 포도와 복숭아에 대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회수율 시험은 각 과수원의 토양시료에서 검출된 2,4-DDT, 4,4-DDE, 4,4-DDT 및 edosulfan sulfate만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포도와 복숭아에서 중 이들의 회수율과 RSD는 각각 76.4-90.4와 76.5-86.2%, 1.9-4.8과 2.0-4.2% 범위이었으며, LOD는 0.2-0.4 μg/kg 수준이었다(Table 4). 이상의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의 토양 및 과실에 대한 회수율 및 RSD 결과는 농촌진흥청에서 권장하는 회수율 70-120%, RSD 10% 이내의 조건을 만족하였다(RDA, 2011).

Recovery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orchard soil

Recovery of endosulfan sulfate, 2,4-DDT, 4,4-DDD, 4,4-DDE, and 4,4-DDT in grape and peach

과수원 토양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량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8개도 포도(62지점) 및 복숭아(65지점) 과수원 토양에서 검출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은 두과수원 모두 조사대상 19종 성분 중 2,4-DDT, 4,4-DDE, 4,4-DDT 및 endosulfan sulfate 4개 성분만이 검출되었다(Table 5). 이들 4 성분의 검출범위와 검출빈도는 포도 과수원 토양의 경우 각각 3.3, 2.3-7.1, 4.5 및 19.2-73.4 μg/kg과 1.6, 4.8, 1.6 및 8.1% 이었고, 복숭아 과수원 토양에서는 각각 31.9, 26.0-119.3, 42.6 및 444.9 μg/kg과 1.5, 6.2, 1.5 및 1.5% 이었다(Table 5).

Residues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orchard soil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 토양에서 검출된 2,4-DDT, 4,4-DDE, 4,4-DDT 및 endosulfan sulfate 성분에 대해서는 GC-MS 질량스펙트럼의 대표적 이온분자량(m/z) 2,4-DDT 165, 235, 246, 4,4-DDE 176, 246, 318, 4,4-DDT 165, 199, 235 및 endosulfan sulfate 272, 274, 387을 확인하여 동일성분임을 재확인하였다(Fig. 3).

Fig. 3.

Representative GC-QTOF-MS chromatogram (left) and mass spectrum (right) of detected 4,4-DDE in orchard soil samples.

우리나라 농업환경 중 최근(2011)에 사용 및 제조가 금지된 endosulfan을 포함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수준은 제한적으로 보고된 바 있다(Lee et al., 2015; Lim et al., 2016a, 2016b, 2016c, 2017a, and 2017b). 이들 보고에 따르면 딸기, 들깨, 참외, 상추, 풋고추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dieldrin, β-endosulfan 및 endosulfan sulfate 만이 각각 1.4-72.5, 0.1-78.7 및 0.0-214.1 μg/kg 수준(Lim et al., 2016a, 2016b, and 2016c), 논, 밭 농경지 토양에서는 α-endosulfan, β-endosulfan 및 endosulfan sulfate 만이 각각 2.0-12.0, 1.2-53.1 및 2.2-329.8 μg/kg 수준(Lim et al., 2017a), 농업용수에서는 α-endosulfan, β-endosulfan 및 endosulfan sulfate 만이 각각 0.04-0.44, 0.01-0.55 및 0.11-1.13 μg/L 수준(Lee et al., 2015; Lim et al., 2017b)으로, 본 연구의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 토양에서 검출된 endosulfan sulfate 잔류량은 19.2-444.9 μg/kg 수준으로 시설재배지 토양 및 농경지(논, 밭) 토양의 잔류수준과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지 및 농경지(논, 밭) 토양에서 검출되지 않은 DDT류 농약이 2.3-119.3 μg/k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이는 DDT의 잔류성, 사용량 및 사용기간에 기인된 것으로 서, 1972년 사용이 제한될 때까지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인 dieldrin이 10년 사용된 것에 반해 DDT는 20년 이상 사용되었고, 농경지 별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사용량에 관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DDT는 대부분 과수원에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Park and Ma, 1982).

과실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잔류수준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Korea Food Additives Code, 2016)는 농약의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evel, MRL)을 작물별로 설정·관리하고 있다(Lim et al., 2016a, 2016c, and 2017a). 본 연구에서 검출된 DDT의 MRL은 곡류 등 12개 식품에 대하여 2,4-DDT, 4,4-DDT, 4,4-DDE 및 4,4-DDD의 합으로 0.01-5.0 mg/kg, endosulfan의 MRL은 고추 등 28개 식품에 대하여 α-endosulfan, β-endosuflan 및 endosulfan sulfate의 합으로 0.05-0.2 mg/kg으로 설정하고 있다.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 토양에서 DDT 및 endosulfan이 각각 최대 82.1 및 444.9 μg/kg 수준으로 검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과실(포도 및 복숭아)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Table 6). DDT류 및 endosulfan류의 과실 중 정량한 계(1.2 및 0.6 μg/kg)를 잔류수준으로 적용한다 하더라도, 두물질의 MRL이 가장 낮은 식품의 기준(0.01 및 0.05 mg/kg) 보다 각각 8.3 및 83.3배 낮은 수준이었다(Table 6).

Residues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ruits

이상의 결과는 우리나라 포도 및 복숭아 과수원 토양에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2,4-DDT, 4,4-DDE, 4,4-DDT 및 endosulfan sulfate가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토양 중 이들의 잔류수준은 포도 및 복숭아로 흡수·이행되지 않는 수준으로, 과수원 토양이 농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 및 국립농업과학원 (PJ01339201, PJ012600 및 PJ013309 )의 지원에 의해 이루 어졌습니다.

References

  • Bagchi, D., M. Bagchi, S. J. Stohs, D. K. Das, S. D. Ray, C. A. Kuszynski, S. S. Joshi, and H. G. Pruess, (2000), Free radicals and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Importance in huma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Toxicology, 148(2-3), p187-197. [https://doi.org/10.1016/s0300-483x(00)00210-9]
  • Choi, S. W., U. S. Chung, and K. T. Lee, (2005), Preparation of high quality grape seed oil by solvent extraction and chemical refining process, Korean J. Food Preserv, 12(6), p600-607.
  • Chung, H. Y., and D. K. Pack,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 p109-114.
  • Fernandes, L., S. Casal, R. Cruz, J.A. Pereira, and E. Ramalhosa, (2013), Seed oils ten traditional Portuguese grape varieties with interesting 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Food Res. Int, 50(1), p161-166.
  • Gabetta, B., N. Fuzzati, A. Griffini, E. Lolla, R. Pace, T. Ruffilli, and F. Peterlongo, (2000), Characterization of proanthocyanidins from grape seeds, Fitoterapia, 71(2), p162-175. [https://doi.org/10.1016/s0367-326x(99)00161-6]
  • Jang, J. K., and J. Y. Han, (2002),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3), p524-528.
  • Jang, S. H., J. S. Lee, and W. S. Choi, (2015), Oxidative stability of grape seed oil by addition of grape seed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2), p1813-1818. [https://doi.org/10.3746/jkfn.2015.44.12.1813]
  • Jayaprakasha, G. K., T. Selvi, and K. K. Sakariah, (2003),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Vitis vinifera) seed extracts, Food Res. Intl, 36(2), p117-122. [https://doi.org/10.1016/s0963-9969(02)00116-3]
  • Kim, H. S., (2007), Studies on th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J. Life Sci, 17(1), p125-131. [https://doi.org/10.5352/jls.2007.17.1.125]
  • Kim, M. S., K. H. Kim, and H. S. Yook, (2009),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cv Dangeum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3), p364-371. [https://doi.org/10.3746/jkfn.2009.38.3.364]
  • KOSTAT, (2017), 2017 Statistics of Agricultural Area Surve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ejeon, Korea.
  • Lee, H. S., H. J. Jeon, H. S. Lee, and S. E. Lee, (2015), Pesticide-ori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agricultural waterway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J. Appl. Biol. Chem, 58(4), p291-294.
  • Lim, S. J., Y. T. Oh, J. H. Ro, J. Y. Yang, G. H. Choi, S. H. Ryu, B. C. Moon, and B. J. Park, (2016a), Investigation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green perilla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greenhouse soil and its leaves, Korean J. Pestic. Sci, 20(3), p221-227. [https://doi.org/10.7585/kjps.2016.20.3.221]
  • Lim, S. J., Y. T. Oh, J. H. Ro, S. Y. Kim, H. G. Joo, M. H. Lee, H. I. Yoon, G. H. Choi, S. H. Ryu, and B. J. Park, (2017a),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or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paddy and upland soils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36(3), p211-216. [https://doi.org/10.5338/kjea.2017.36.3.23]
  • Lim, S. J., Y. T. Oh, J. Y. Yang, J. H. Ro, G. H. Choi, S. H. Ryu,B. C. Moon, and B. J. Park, (2016c),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sis and monitoring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Use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Korea, Korean J. Pestic. Sci, 20(4), p319-325.
  • Lim, S. J., Y. T. Oh, S. Y. Kim, J. H. Ro, G. H. Choi, S. H. Ryu, S. S. Kim, and B. J. Park, (2017b), Residue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agricultural waters and its risk assessment of aquatic creature, Korean J. Pestic. Sci, 21(2), p191-197. [https://doi.org/10.7585/kjps.2017.21.2.191]
  • Lim, S. J., Y. T. Oh, Y. S. Jo, J. H. Ro, G. H. Choi, J. Y. Yang, and B. J. Park, (2016b),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residues in greenhouse soil and strawberry-Organochlorine pesticides, Korean J. Environ. Agric, 35(1), p6-14. [https://doi.org/10.5338/kjea.2016.35.1.05]
  • Park, C. K., and Y. S. Ma, (1982),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rural soils-1981, Korean J. Environ. Agric, 1(1), p1-13.
  • Park, J. D., S. I. Hong, H. W. Park, and D. M. Kim, (1999),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for distribution at ambient temperature, Koran J. Food Sci. Technol, 31, p1227-1234.
  • Yamakoshi, J., S. Kataoka, T. Koga, and T. Ariga, (1999),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grape seeds attenuates the development of aortic atherosclerosis in cholesterolfed rabbits, Atherosclerosis, 142(1), p139-149. [https://doi.org/10.1016/s0021-9150(98)00230-5]
  • Youn, S. J., E. T. Lee, J. G. Cho, and D. J. Kim, (2010), Effect of enzym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of nectarine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9), p1379-1383. [https://doi.org/10.3746/jkfn.2010.39.9.1379]

Fig. 1.

Fig. 1.
Flow chart for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oil (left) and fruit (right).

Fig. 2.

Fig. 2.
Representative standard (A), recovery in soil (B), recovery in grape and peach (C), and soil and fruit sample chromatograms (D)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Fig. 3.

Fig. 3.
Representative GC-QTOF-MS chromatogram (left) and mass spectrum (right) of detected 4,4-DDE in orchard soil samples.

Table 1.

Analytical conditions (GC-μECD) for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tems Analytical conditions
Column RTX-5MS (30 m × 0.25 mm, 0.25 μm, Restek, Pennsylvania, USA)
Carrier gas N2 (0.8 mL/min)
Injection vol. 1 μL
Injection mode Splitless
Inlet temp. 250oC
Detector temp. 300oC
Oven temp. Stage Rate (oC/min) Temp. (oC) Hold time (min)
Initial - 60 2
Ramp 1 20 130 3
Ramp 2 1.5 210 4
Ramp 3 10 240 10

Table 2.

Analytical conditions (GC-QTOF-MS) for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tems Analytical conditions
Column RTX-5MS (30 m × 0.25 mm, 0.25 μm, Restek, Pennsylvania, USA)
Carrier gas N2 (1.0 mL/min) Injection vol. 1 μL
Injection mode Splitless Inlet temp. 250oC
Transfer line temp. 230oC Detector temp. 300oC
Oven temp. Stage Rate (oC/min) Temp. (oC) Hold time (min)
Initial - 80 5
Ramp 1 5 150 2
Ramp 2 10 240 3
Ramp 3 20 280 2
Mass spectrometry Scan range 50-500
Voltage 1600 V
Ion source temp. 300oC

Table 3.

Recovery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orchard soil

Pesticides Recovery (%) LOD (μg/kg) RSD (%)
4 μg/kg 20 μg/kg 4 μg/kg 20 μg/kg
Group I α-HCH 85.4 ± 2.0 88.2 ± 1.8 0.05 2.3 2.0
β-HCH 90.6 ± 2.8 101.2 ± 3.4 0.07 3.1 3.4
γ-HCH 93.4 ± 1.6 90.4 ± 2.5 0.04 1.7 2.8
δ-HCH 90.4 ± 3.4 82.0 ± 2.2 0.04 3.8 2.7
α-Endosulfan 86.6 ± 1.5 95.4 ± 2.8 0.03 1.7 2.9
β-Endosulfan 97.4 ± 3.7 94.4 ± 2.6 0.02 3.8 2.8
Endosulfan sulfate 90.2 ± 2.4 96.2 ± 2.0 0.03 2.7 2.1
Endrin 88.4 ± 3.2 95.7 ± 2.8 0.03 3.6 2.9
4,4-DDE 97.2 ± 3.2 91.6 ± 1.7 0.03 3.3 1.9
2,4-DDT 84.6 ± 2.2 87.5 ± 1.4 0.04 2.6 1.6
Group II Aldrin 90.2 ± 1.6 91.7 ± 2.3 0.03 1.8 2.5
Dieldrin 87.4 ± 2.0 83.6 ± 3.2 0.03 2.3 3.8
Hexachlorobenzene 80.2 ± 1.4 83.6 ± 2.6 0.02 1.7 3.1
Heptachlor 76.4 ± 2.5 85.4 ± 3.4 0.01 3.3 4.0
Heptachlorepoxide 86.2 ± 2.1 87.6 ± 3.0 0.03 2.4 3.4
2,4-DDD 93.4 ± 3.3 80.6 ± 2.4 0.03 3.5 3.0
2,4-DDE 86.6 ± 2.0 77.4 ± 1.8 0.03 2.3 2.3
4,4-DDD 80.4 ± 2.1 87.2 ± 3.5 0.08 2.6 4.0
4,4-DDT 91.7 ± 1.5 83.6 ± 2.9 0.03 1.6 3.5

Table 4.

Recovery of endosulfan sulfate, 2,4-DDT, 4,4-DDD, 4,4-DDE, and 4,4-DDT in grape and peach

Fruits Pesticides Recovery (%) LOD (μg/kg) RSD (%)
10 μg/kg 50 μg/kg 10 μg/kg 50 μg/kg
Grape 2,4-DDT 86.4 ± 1.6 76.4 ± 2.2 0.3 1.9 2.9
4,4-DDE 83.4 ± 2.4 78.8 ± 2.4 0.3 2.0 3.6
4,4-DDT 86.2 ± 2.4 80.8 ± 3.2 0.3 2.8 4.0
Endosulfan sulfate 88.0 ± 2.8 90.4 ± 1.8 0.2 4.8 3.0
Peach 2,4-DDT 78.4 ± 1.6 83.2 ± 3.0 0.4 2.0 3.6
4,4-DDE 83.4 ± 2.0 76.5 ± 2.3 0.3 2.4 3.0
4,4-DDT 80.4 ± 3.4 78.2 ± 2.4 0.3 4.2 3.1
Endosulfan sulfate 84.6 ± 2.8 86.2 ± 2.2 0.2 3.3 2.6

Table 5.

Residues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orchard soil

Pesticides Detection range (μg/kg) Detection number (Ratio of detection, %)
Grape 2,4-DDT 3.3 1 (1.6)
4,4-DDE 2.3-7.1 2 (4.8)
4,4-DDT 4.5 1 (1.6)
Endosulfan sulfate 19.2-73.4 5 (8.1)
Peach 2,4-DDT 31.9 1 (1.5)
4,4-DDE 26.0-119.3 4 (6.2)
4,4-DDT 42.6 1 (1.5)
Endosulfan sulfate 444.9 1 (1.5)

Table 6.

Residues of residual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ruits

Pesticides Detection range (μg/kg) Detection number (Ratio of detection, %)
Grape 2,4-DDT <LOD -
4,4-DDE <LOD -
4,4-DDT <LOD -
Endosulfan sulfate <LOD -
Peach 2,4-DDT <LOD -
4,4-DDE <LOD -
4,4-DDT <LOD -
Endosulfan sulfate <LO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