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Pesticide Science
[ ORIGINAL ARTICLES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Vol. 27, No. 3, pp.163-178
ISSN: 1226-6183 (Print) 2287-205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07 Jun 2023 Revised 04 Jul 2023 Accepted 11 Jul 2023
DOI: https://doi.org/10.7585/kjps.2023.27.3.163

부산지역 유통 과일류의 과피 및 과육별 잔류농약 실태조사

김은주* ; 정재훈 ; 박소현 ; 권위경 ; 정지윤 ; 황지영 ; 유정완 ; 김성희 ; 박성아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반여농산물검사소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in Peel and Pulp of Fruits Collected from Markets in Busan
Eun-ju Kim* ; Jae-hoon Jeong ; So-hyun Park ; Wi-gyeong Gwon ; Ji-yun Jeong ; Ji-young Hwang ; Jeong-wan Yu ; Seong-hee Kim ; Sung-ah Park
Banyeo agricultural products inspection Center,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Busan 46616, Republic of Korea

Correspondence to: *E-mail: eunjoo0712@korea.kr

초록

본 연구는 부산지역 내 유통되는 과일의 껍질과 과육의 잔류농약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112개의 시료를 식품공전의 다성분 시험법으로 GC-MSMS와 UPLC-MSMS을 이용하여 338종의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77건의 전체 검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농도는 0.01-2.5 mg/kg 범위였다. 107건의 과피 검체와 41건의 과육 검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각각 0.01-13.0 mg/kg과 0.1-3.0 mg/kg의 검출범위를 보였다. 전체 검체보다 과피 검체에서 잔류농약이 높게 검출되었다. 과육 검체에서 검출된 잔류농약은 carbendazim이 14회로 가장 많았다. Carbendazim과 etofenprox에 대해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ADI가 1.0-8.0%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esticide residues in peel and pulp of fruits on the markets in Busan. A total of 112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338 pesticides by multi-residue methods of Korean Food Code using GC-MSMS and UPLC-MS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sticides were detected in 77 samples (68.8%) of whole fruit and the concentration was in the range of 0.01-2.5 mg/kg. Then, pesticides were detected in 107 samples (95.5%) of the peel and pesticides detected in 41 samples (36.6%) of the pulp, with concentration ranges of 0.01-13.0 mg/kg and 0.1-3.0 mg/kg, respectively. The amount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peel was higher than the whole fruit. In the pulp, carbendazim was detected most frequently with 14 times. As a result of the risk assessment on carbendazim and etofenprox, the hazard index (%ADI) was 1.0-8.0%, indicating that residual pesticides detected in fruits distributed in Busan were at safe levels.

Keywords:

Busan, Fruits, Peel, Pesticide residues, Pulp

키워드:

부산, 과일, 껍질, 잔류농약, 과육

서 론

과일류는 폴리페놀 화합물과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등과 같은 식이성 항산화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는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여(Kim and Park, 2011; Halliwell et al., 1995), 암, 심혈관 질환, 뇌졸중과 같은 질병의 위험을 낮춰주는 것으로 알려져 세계적으로 과일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Ames et al., 1995). 특히 과일의 전체보다 껍질에서 페놀화합물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높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고(Jose et al., 2011; Kubola and Siriamornpun, 2011), 과피의 생리활성 성분과 이를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et al., 2012).

2000년대 들어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 체결 이후 다양한 품목의 과일이 수입되고 인구·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과일 소비 형태가 달라졌다. 맛 이외에 건강 증진과 식사 대용으로 섭취하는 경우가 많아 아침 과일 섭취량이 과거보다 증가하였다(KREI, 2017). 과일은 식품 산업에서 음료류 다음으로 과일 가공품이나 잼류의 원료로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MAFRA, 2022), 최근에는 껍질째 씻지 않고 그대로 섭취가 가능한 신선편이 과일과 과일 가공품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껍질이 얇은 과일과 친환경·유기농 과일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KREI, 2017).

농약은 병해충이나 잡초 등을 제거하여 농산물의 품질 향상과 수확량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농작물에 살포된 농약은 강우, 햇빛, 바람, 미생물 등에 의해 분해 소실되며, 일부는 식물체 표면의 cuticle층을 통과한 후 내부로 이동하여 잔류하게 된다(Lee et al., 2009; Ihm et al., 2002). 과도한 농약의 사용은 잔류 가능성을 증가시켜 소비자들에게 위해성을 일으키므로 농산물의 잔류농약에 대한 안전성이 중요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잔류농약 모니터링 사업을 매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정책 수립 및 잔류허용기준 제·개정에 반영하고 있다(Nam et al., 2006).

과일별 농약 부착량 및 잔류성은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과 제형, 과일 표면의 상태와 굴곡, 재배방법, 융모의 유무 등에 영향을 받는다. 과일에 살포된 농약은 대부분 껍질에 잔류하지만 과일별 특성에 따라 농약의 잔류성에 차이가 있다(Ihm et al., 2002; Lee et al., 2004). 서울지역과 경기도에서 과일류의 부위별 잔류농약 함량을 비교한 연구에서 과피가 과일 전체보다 높은 검출량을 보였고 일부 과육에서 농약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다(Park et al., 2015; Moon et al., 2022).

본 연구는 부산에서 유통되는 과일류 중 껍질째 섭취가 많은 과일, 껍질 표면에 융모가 있는 과일과 껍질째 가공하거나 껍질을 말려 차로 음용하는 과일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과피와 과육을 분리해 부위별 농약 잔류량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시료 및 분석항목

2022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부산지역 내 대형마트, 재래시장, 반여농산물도매시장 등에서 유통되는 과일류 112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품목별로 사과·배(인과류), 감귤·오렌지·레몬(감귤류), 복숭아(핵과류), 포도(장과류) 7품목을 선정하였으며(Table 1), 분석항목은 잔류농약 338종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s 2, 3).

List of samples analyzed for pesticide residues

List of residual pesticides analyzed by GC-MSMS

List of residual pesticides analyzed by UPLC-MSMS

시약 및 기구

338종 농약의 표준품은 Dr. Ehrenstorfer사(Augsburg, Bayern, Germany)와 AccuStandard사(New Haven, CT,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농약 표준원액과 HPLC-MSMS의 이동상 조제에 사용되는 acetonitrile, methanol 등은 Merck사(Darmstadt, Hesse, Germany)의 HPLC급 용매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동상 용매 조제시 formic acid (ThermoFisher, Waltham, Massachusetts, USA) 및 Ammonium formate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QuEChERS (Qui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시약은 Chromatific사(Germany)의 QuEChERS Extraction kit (ENK1-SC)와 QuEChERS Dispersive (PM2EN) 제품을 시료 추출과 정제에 사용하였다. 원심분리기는 Beckman Coulter사(Brea, CA, USA) US/Avanti J-15R 모델을 사용하였다.

시료 전처리

전체 검체는 식품공전에 따라 처리하였다. 사과, 배는 꼭지를 제거, 감귤, 오렌지, 레몬은 과실 전체, 복숭아는 꼭지 및 씨를 제거, 포도는 꼭지와 줄기를 제거하여 전체 검체로 사용하였으며, 과피와 과육만 분리하여 과피 검체와 과육 검체로 사용하였다.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방법은 식품공전 중 다성분 시험법 제2법(7.1.2.2)-QuEChERS법에 따라 추출 및 정제하여 분석하였다(MFDS, 2022).

분석기기 및 조건

분석에 사용된 GC-MSMS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er System)는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 7010B Triple quadrupole 장비로 잔류농약 160종을 분석하였고, UPLC-MSMS는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 Xevo TQ-S micro 모델을 사용하여 잔류농약 178종을 분석하였다. GC-MSMS와 UPLC-MSMS의 기기분석 조건은 각각 Tables 4, 5와 같다.

Analytical conditions of GC-MSMS

Analytical conditions of UPLC-MSMS

정량 방법

검량선(calibration curve)은 이미 알고 있는 농도의 표준용액 최소 3개 이상을 주입하여 나타난 peak 면적과 표준용액의 양으로 산출하였고 검체의 분석성분의 양을 검량선에 대입하여 정량하였다(NIFDS, 2017). 검체의 분석값은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MFDS, 2022)을 적용하였으며 허용 기준값 대비 검출 표기값이 0.01 m g/kg 이상 되는 것을 검출 건수에 포함하였다.

회수율,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회수율(recovery)은 식품공전 잔류농약 분석법 실무해설서에 따라 실시하였다(NIFDS, 2017).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은 포도에 0.1 mg/kg이 되도록 표준용액을 첨가한 뒤 3회 반복 측정하였다.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LOD) 및 정량한계(Limit of quantitation, LOQ)는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CH)에서 제시한 아래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 LOD = 3.3 × δ / S
  • LOQ = 10 × δ / S
  •  
  • δ: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S: The slope of the calibration curve

위해성 평가

과피 검체에서 검출된 농약의 위해성 평가는 일일섭취허용량(acceptable daily intake, ADI) 대비 일일섭취추정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인 %ADI로 평가하였다. 농촌진흥청 고시(MOLEG, 2022)의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과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KDCA, 2021; KHIDI, 2021)의 과일류 품목별 일일섭취량(감귤 11.47 g, 복숭아 13 g, 사과 33.91 g) 자료를 이용하였다. EDI는 농약의 평균 잔류량과 일일섭취량을 곱한 뒤 한국인의 평균 체중인 55 kg으로 나누었으며, %ADI는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Do et al, 2012; MFDS, 2019).

%ADI=EDImg/kgbw/day×100ADImg/kgbw/day

결과 및 고찰

회수율,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

품목 및 장비별로 최다 검출된 농약 12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6과 같다. 12종 농약의 LOD는 0.0005-0.0017 mg/kg, LOQ는 0.0018-0.0053 mg/kg으로 국내에서 규정하고 있는 0.05 mg/kg 이하의 검출한계 기준에 적합하였다. 회수율은 82.0-107.6%, 상대표준편차(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는 0.7-4.4%를 나타냈다. 실무해설서(NIFDS, 2017)에 의하면, 국내에서 허용되는 회수율 범위는 70-120%, 상대표준편차 20% 이하로 본 연구는 적절한 분석법으로 시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Recovery rate, LOD and LOQ of pesticides detected

부위별 잔류농약 검출현황

부산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과일 7품목 112건을 전체 검체, 과피 검체와 과육 검체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부위별 잔류농약 검출 건수 및 검출률은 Table 7과 같다. 전체 검체의 검출률은 68.8% (77건/112건)로 나타났으며 기준 이하로 적합하였다. 오렌지와 레몬의 전체 검체에서 100%로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고 사과 전체 검체 93.8% (15건/16건), 복숭아 전체 검체 72.2% (13건/18건), 포도 전체 검체 68.8% (11건/16건) 그리고 감귤 전체 검체 55.0% (11건/20건) 순으로 나타났다. 배 전체 검체의 검출률이 6.3% (1건/16건)로 가장 낮았다.

Detection rate of residual pesticides from whole, peel and pulp

과피 검체의 검출률은 95.5% (107건/112건)로 나타났다. 과피의 경우 모든 품목에서 검출률이 높았고, 특히 사과, 오렌지, 레몬, 복숭아 과피 검체는 100%의 잔류농약 검출률을 보였다. 배 과피 검체의 검출률은 93.8% (15건/16건)이었으며 감귤 과피 검체 90.0% (18건/20건), 그리고 포도 과피 검체 87.5% (14건/16건) 순으로 나타났다. 과피는 수분 함량이 낮고 조직이 치밀하여 농약의 침투가 용이하지 않다(Park et al., 2007). 따라서 살포된 농약이 일부 과육으로 이행하지만 대부분 과피에 잔존한다(Ihm et al., 2002). 본 연구는 Cho et al. (2012)이 보고한 연구 결과에서 과피와 과육의 분리 실험 전에 비해 과피의 농약 잔류량이 크게 증가한 것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과육 검체의 검출률은 36.6% (41건/112건)로 나타났다. 오렌지 과육 검체에서 61.5% (8건/13건)로 가장 높았고, 포도 과육 검체 56.3% (9건/16건), 사과 과육 검체 43.8% (7건/16건), 레몬 과육 검체 38.5% (5건/13건), 감귤 과육 검체 35.0% (7건/20건), 그리고 복숭아 과육 검체 27.8% (5건/18건)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배를 제외한 6품목의 과육 검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과피 검체보다 낮은 잔류 농약 검출률을 보였다. 이는 과일의 전체 부피 중 과육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전체 검체의 농약 검출률이 떨어졌다고 생각한다. 배의 경우 과피 검체는 93.8% (15건/16건)의 검출률을 보였으나 전체 검체는 6.3% (1건/16건)에 불과하였다. 반면, 같은 인과류에 속하는 사과의 경우 과피 검체는 100% (16건/16건)의 검출률을 나타냈으며 전체 검체도 93.8% (15건/16건)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사과 과육 검체의 높은 농약 검출률 43.8% (7건/16건)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품목별 잔류농약 검출현황

전체 검체, 과피 검체와 과육 검체에서 검출된 잔류농약의 종류 및 검출농도를 소분류별로 나누어 Tables 8-11에 나타내었다. 인과류 총 32건(사과 16건, 배 16건)에서 전체 검체는 12종의 농약이 31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2.5 mg/kg이었다. 과피 검체는 45종이 194회 검출되었고 검출 범위는 0.02-13.0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는 2종이 7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3.0 mg/kg이었다. 사과 총 16건에서 전체 검체는 12종의 농약이 30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2.5 mg/kg이었다. 과피 검체에서는 38종이 147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2-13.0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에서는 2종이 7회 검출되어 검출범위는 0.1-3.0 mg/kg이었다. 사과는 전체 검체에 비해 과피 검체에서 검출농도가 1–22배 정도 높았다. 배 총 16건에서 전체 검체는 carbendazim이 0.2 mg/kg 1회 검출된 반면 과피 검체는 21종이 47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2-0.6 mg/kg이었다. 과육 검체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배는 전체 검체의 검출량에 비해 과피 검체에서 2배 정도의 양이 높게 검출되었다.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pome fruits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citrus fruits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stone fruits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berry fruits

Park et al. (2007)은 배가 사과보다 과육 내 수분 함량이 높고 과피가 두꺼우며 배의 과피에서 농약의 확산 속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도 사과에 비해 배의 전체 검체와 과육 검체에서 농약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감귤류 총 46건(감귤 20건, 오렌지 13건, 레몬 13건)에서 전체 검체는 12종의 농약이 88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1-2.1 mg/kg이었다. 과피 검체는 30종이 150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1-9.5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는 5종이 20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0.6 mg/kg이었다. 감귤 총 20건에서 전체 검체는 5종의 농약이 14회 검출되었고 검출 범위는 0.1-2.1 mg/kg이었다. 과피 검체는 20종이 54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9.5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는 3종 이 7회 검출되어 검출범위는 0.1-0.6 mg/kg이었다. 감귤은 전체 검체에 비해 과피 검체에서 검출농도가 1-31.7배정도 높았다. 오렌지 총 13건에서 전체 검체는 7종의 농약이 27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1-1.4 mg/kg이었다. 과피 검체는 10종이 37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6-7.4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는 2종이 8회 검출되었고 검출농도는 0.1 m g/kg이었다. 오렌지는 전체 검체의 검출량에 비해 과피 검체에서 1–6.5배 수준의 양이 높게 검출되었다. 레몬 총 13건에서 전체 검체는 5종의 농약이 47회 검출되었고 검출 범위는 0.1-2 mg/kg이었다. 과피 검체는 6종이 59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1-4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는 2종이 5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0.2 mg/kg이었다. 레몬은 과피 검체에서 전체 검체 대비 1-10배 많은 농약이 잔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에서 유통되는 과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에서 감귤류의 농약 검출률이 가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Lee et al., 2019). 본 연구에서는 감귤류 중 오렌지와 레몬 전체 검체의 검출률이 100%로 가장 높았다(Table 7). 수입 과일은 장기간 저장 및 보관, 장거리 수송으로 인해 수확 후 농약처리(Post-harvest)를 한다(Choi et al., 2013). 본 연구에서도 수입 감귤류의 경우 Post-harvest 살균제인 thiabendazole, imazalil과 fludioxonil이 주로 검출되었으며, 국내 감귤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아 선행연구와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Choi et al., 2013; Chung et al., 2014).

복숭아 총 18건에서 전체 검체는 14종의 농약이 21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3-0.6 mg/kg이었다. 과피 검체는 42종이 119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1-5.1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는 4종이 5회 검출되었고 검출농도는 0.1 mg/kg이었다. 전체 검체보다 과피 검체에서 1-22배 수준의 양이 높게 검출되었다.

Lee et al. (2004)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복숭아 표면의 잔털은 살포된 농약이 부착할 수 있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농약의 부착량과 잔류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Hwang et al. (2010)의 연구 결과에서는 다른 과일에 비해 키위 표면에 많은 농약이 잔류하였고, Kim et al. (2012)은 털이 있는 복숭아 품종에서 털이 없는 품종보다 최대 5.4배 많은 농약이 잔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과피 검체의 높은 농약 잔류량이 복숭아 표면의 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도 총 16건 전체 검체는 10종의 농약이 25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2.1 mg/kg이었다. 과피 검체는 21종이 49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01-7.4 mg/kg이었으며, 과육 검체는 6종이 13회 검출되었고 검출범위는 0.1-1.9 mg/kg이었다. 포도 과피 검체에는 전체 검체의 검출량 대비 1–25배 많은 농약이 잔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도는 과피 검체의 농약 검출 대비 전체 검체와 과육 검체에서 많은 종류의 농약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살포된 농약이 모여있는 포도알 형태로 인해 흘러내리지 않고 남아 있어 농약 잔류량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른 과일에 비해 과피의 비율이 높다는 Lee et al. (2004)의 연구 결과에 따라 전체 검체의 농약 검출률이 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껍질째 먹는 포도는 과피와 과육의 분리 과정 중 과피가 일부 혼입되어 상대적으로 과육 검체의 농약 잔류량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감귤에서 검출된 Dinotefuran과 복숭아에서 검출된 Flonicamid는 과피 검체와 과육 검체에서 0.1 mg/kg으로 검출되었지만 전체 검체에서 0.01 mg/kg 미만으로 검출되어 검출 건수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과피와 과육으로 분리하지 않고 처리하여 전체 검체에서 희석된 것이라 판단된다.

농약별 잔류농약 검출현황

연구 대상의 품목 112건에서 분석항목 338종 중 5회 이상 검출된 농약은 30종 429회였다(Table 12). 동일 품목에서 부위별(전체 검체, 과피 검체, 과육 검체)로 동시 검출된 농약은 최대 검출 횟수를 산정하였다. 검출 농약을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살균제 14종이 251회(58.5%), 살충제 16종이 178회(41.5%) 검출되어 살균제가 많이 검출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검출 빈도가 가장 높은 농약은 carbendazim으로 총 41회 검출되었으며, etofenprox 26회, thiabendazole 25회, imazalil 24회, fludioxonil 21회, azoxystrobin, pyraclostrobin, tebuconazole 각 19회, bifenthrin, trifloxystrobin 각 18회, difenoconazole 17회, chlorantraniliprole, propiconazole 각 16회, buprofezin, lufenuron 각 14회, boscalid, indoxacarb 각 13회, deltamethrin 12회, chlorfenapyr 11회, diflubenzuron 9회, chlorpyrifos, methoxyfenozide 각 8회, cyprodinil, spirodiclofen, spiromesifen 각 7회, fenhexamid, fluazinam 각 6회, flubendiamide, fluxametamide, teflubenzuron 각 5회 순을 나타냈다.

Residual pesticides of detected in the sample

본 연구에서 검출된 농약들은 하나의 검체에서 대부분 2종 이상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되었다. 사과에서 최대 18종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되었고 복숭아에서 최대 12종의 농약이 동시에 검출되었다. Yang et al. (2017)은 다양한 병원균이나 해충을 동시에 방제하기 위해 혼합제 농약을 사용하거나 살균제와 살충제를 혼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농산물에서 2종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Ahn et al. (2013)이 사과와 복숭아에서 가장 다양한 농약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한 것처럼 본 연구에서도 두 품목의 검체에서 검출된 농약 수가 많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과육 검체에서는 12종의 잔류농약이 45회 검출되었다(Table 13). 검출 농약을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살균제 7종이 38회(84.4%), 살충제 5종이 7회(15.6%) 검출되어 살균제가 많이 검출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Carbendazim이 14회로 가장 많이 검출되어 전체 검출빈도의 31.1%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thiabendazole이 11회 검출되어 24.4%를 차지했으며, 나머지 fenhexamid, cyprodinil, dinotefuran, boscalid, propiconazole, acephate, buprofezin, flonicamid, fludioxonil, sulfoxaflor 10종의 농약이 전체 검출의 44.4%를 차지했다. Carbendazim은 thiabendazole과 함께 benzimidazole계 살균제로 넓은 작용범위를 지닌 침투성 농약이다. 이러한 침투이행성 농약은 식물의 뿌리와 잎으로 흡수·이행되어 잔류기간이 길게 나타난다(Kim et al., 2008; Jeong et al., 2017). 사과의 검은별무늬병, 감귤의 잿빛곰팡이병 등 방제에 사용되며(RDA, 2022), 사과 6건, 감귤 5건, 복숭아 2건, 포도 1건의 과육 검체에서 검출되었다. Thiabendazole은 수입 감귤류에 수확 후 농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오렌지 7건과 레몬 4건의 과육 검체에서 검출되었다. Fenhexamid는 침투이행성이 강한 살균제로 포도, 딸기, 복숭아 등과 관련된 병해의 방제에 사용되며, 특히 포도 생산에 큰 피해를 주는 Botrytis cineara의 방제에 효과 있다(Han et al., 2003). 본 연구에서 5건의 포도 과육 검체에서 fenhexamid가 검출되었다. Cyprodinil은 pyrimidine계 살균제로 배의 검은별무늬병, 사과의 붉은무늬병, 포도의 잿빛곰팡이병 등의 방제에 사용되며(RDA, 2022), 3건의 포도 과육 검체에서 검출되었다. 과육 검체에서 검출된 농약들은 대부분 침투성 농약으로 과일 표면에 부착된 농약이 과피를 통해 과육으로 침투·이행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Residual pesticides of detected in the pulp from sample

과피 검체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23종의 성분이 식품위생법의 농약 잔류허용기준(MFDS, 2022)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Table 14). 검출 빈도가 가장 많은 농약은 carbendazim과 etofenprox로 각 6회 초과하여 검출되었으며, pyraclostrobin 4회, deltamehtrin, fenhexamid, fluazinam, flubendiamide, pendimethalin, phenothrin, thiabendazole, trifloxystrobin 각 2회 등의 순을 나타냈다. Carbendazim은 사과 3건, 감귤 2건, 복숭아 1건의 과피 검체에서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Etofenprox는 비침투성 농약인 pyrethroid계 살충제로 과채류의 복숭아혹진딧물, 꽃노랑총채벌레, 담배나방 등의 방제에 사용되고 있으며(Oh et al., 2021), 본 연구에서 6건의 사과 과피 검체에서만 검출되었다. Pyraclostrobin은 strobilurin계 살균제로서 치료 및 예방효과를 동시에 나타내고 침투이행성이 우수하여 흰가루병, 곰팡이병, 검은별무늬병 등 다양한 식물병원균의 방제에 이용되고 있으며(Park et al., 2012), 사과와 복숭아 각 2건의 과피 검체에서 검출되었다.

Residual pesticides of detected in the peel from sample

Moon et al. (2022)은 과피에서 검출된 농약이 대부분 농산물의 잔류허용기준 이내였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에서 과피 검체의 잔류농약 검출 결과와 다소 다른 양상을 보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키위의 과피 1건에서만 detlamethrin이 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고(Moon et al., 2022), 본 연구에서는 deltamethrin이 사과와 복숭아 각 1건의 과피 검체에서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앞서 사과와 복숭아의 검체에서 다양한 농약이 검출되었다고 보고했듯이 과피 검체에서 초과하여 검출된 농약 수도 사과 17건과 복숭아 18건으로 가장 많았다. 사과와 복숭아는 껍질째 섭취가 많은 과일인 만큼 흐르는 물에 충분히 씻은 후 섭취하길 권장한다. 또한 감귤류는 껍질째 가공하는 과일청이나 껍질을 말려 차로 음용하는 경우가 많아 세척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위해성 평가

과피 검체에서 잔류허용기준(MFDS, 2022)을 초과한 농약 중 각 6회로 최다 검출된 carbendazim과 etofenprox에 대해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피 중 검출 농약의 안전성은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섭취추정량인 %ADI로 평가하였다. Carbendazim의 %ADI는 1.0-8.0%이었고, etofenprox의 경우 2.0%로 나타났다(Table 15). 위해지수가 100% 이상일 경우 위해하다고 판단하며, 100% 이하일 경우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MFDS, 2019). 검출된 농약 2종 모두 100% 이하로 조사되어 위해성이 크지 않았다. 위해성 평가 산출에 이용한 일일섭취량은 과피와 과육을 포함한 과일 전체의 일일섭취량이므로 과피의 섭취에 따른 위해도는 더욱 낮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MFDS, 2022)은 과일의 전체 검체에서 검출된 농도에 적용하는 것으로 과피 검체에서 초과하였다하여 부적합이라고 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과피만 섭취하지 않고, 세척 및 조리과정을 통해 농약의 위해성은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Kwon, 2009).

Risk assessment of detected pesticides from peel

이해상충관계

저자는 이해상충관계가 없음을 선언합니다.

References

  • Ahn JW, Jeon YH, Hwang JI, Kim JM, Seok DR, et al., 2013.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fruits in market. Korean J. Environ Agri. 32(2):142-147. [https://doi.org/10.5338/KJEA.2013.32.2.142]
  • Ames BN, Gold LS, Willet WC, 1995. The causes and prevention of cancer. Proc. Natl. Acad. Sci. USA. 92(12):5258-5265. [https://doi.org/10.1073/pnas.92.12.5258]
  • Cho YS, Kang JB, Kim YH, Jeong JA, Huh JW, et al., 2012. A servey on pesticde residues of imported fruits circulated in Gyeonggido. Korean J. Pestic. Sci. 16(3):195-201. [https://doi.org/10.7585/kjps.2012.16.3.195]
  • Choi SJ, Kim EJ, Lee Ji, Cho IS, Park WH, et al., 2013. Determination of post-harvest fungicide in citrus fruits using L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4):409-415. [https://doi.org/10.9721/KJFST.2013.45.4.409]
  • Chung SJ, Kim HY, Kim JH, Yeom MS, Cho JH, et al., 2014.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in some fruits on the market in Incheo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33(2):111-120. [https://doi.org/10.5338/KJEA.2014.33.2.111]
  • Do YS, Kim JB, Kang SH, Kim NY, Um MN, et al., 2012.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collected in Gyenoggi-do, Korea from 2006 to 2010. Korean J. Pestic. Sci. 16(2):85-97. [https://doi.org/10.7585/kjps.2012.16.2.085]
  •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ruoma OI,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 33(7):601-617. [https://doi.org/10.1016/0278-6915(95)00024-V]
  • Han SS, Lo SC, Kim WJ, Park PJ, Kim IK, 2003.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n the residual of fungicide Fenhexamid in crops (cucumber, strawberry and grape).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16(1):70-71.
  • Hwang LH, Cho TH, Eom JH, Choe BC, Park YH, et al., 2010. Residue levels of pesticides in post-harvest treated import fruits during storage. J. Food Hyg. Saf. 25(3):245-250.
  • Ihm YB, Kyung KS, Park YS, Lee HD, Kim JB, et al., 2002. Changes of pesticide residues in bagged pear and bagging paper during the field and storage. Korean J. Pestic. Sci. 6(4):293-299.
  • Jeong HR, Noh HH, Lee JY, Park HK, Jin MJ, et al., 2017. Residu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assessments of Bifenthrin, Carbendazim and Metconazole in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Pestic. Sci. 21(1):97-105. [https://doi.org/10.7585/kjps.2017.21.1.97]
  • Jose CC, Lilia CJ, Eduardo GH, Belen GV, 2011. Antioxidant capacity, phenolic content and vitamin C in pulp, and seed from 24 exotic fruits from Colombia. Food Research International. 44(7):2047-2053. [https://doi.org/10.1016/j.foodres.2010.11.003]
  • KDCA, 2021.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20),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Cheongju, Korea.
  • KHIDI, 2021.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2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ttps://www.khidi.or.kr/kps/dhraStat/result2?menuId=MENU01653&gubun=age1&year=2020, (Accessed Jul. 4. 2023)
  • Kim JP, Seo JM, Lee HH, Oh MS, Ha DR, et al., 2008. The degradation patterns of Benzimidazole pesticides in korean lettuce by cultivation. J. Food Hyg. Saf. 23(2):129-136.
  • Kim MJ, Park EJ, 2011. Feature analysis of different In vitro antioxidant capacity assays and their application to fruit and vegetable samp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7):1053-1062. [https://doi.org/10.3746/jkfn.2011.40.7.1053]
  • Kim HY, Hwang JI, Lee EH, Jeon YH, Kim JW, et al., 2012. Residue patterns of insecticide Flubendiamide by varieties of peaches. Korean J. Environ Agric. 31(2):152-156. [https://doi.org/10.5338/KJEA.2012.31.2.152]
  • KREI, 2017. Changes in fruit consumption trends and countermeasures of fruit industr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Naju. Korea. p. 240
  • Kubola J, Siriamornpun S, 2011.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fruit fractions (peel, pulp, aril and seed) of Thai gac (Momordica cochincninesis Spreng). Food Chemistry. 127(3):1138-1145.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1.01.115]
  • Kwon HY, Lee HD, Kim JB, Jin YD, Moon BC, et al., 2009. Reduc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ield-sprayed leafy vege tables bt washing and boiling. J. Food Hyg. Saf. 24(2):182-187.
  • Lee HD, Kyung KS, Kwon HY, Ihm YB, Kim JB, et al., 2004. Residue characteristics of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uits. Korean J. Pestic. Sci. 8(2):107-111.
  • Lee HJ, Choe WJ, Lee JY, Cho DH, Kang CS, et al., 2009. Monitoring of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or (EBI)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and risk assess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2):1779-1784. [https://doi.org/10.3746/jkfn.2009.38.12.1779]
  • Lee MY, Yoo MS, Whang YJ, Jin YJ, Hong MH, et al., 2012. Vitamin C,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veral fruit pe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5):540-544. [https://doi.org/10.9721/KJFST.2012.44.5.540]
  • Lee KB, Kim NW, Song NS, Lee JH, Jung SM, et al., 2019. A safety survey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 products circula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J. Food Hyg. Saf. 34(5):421-430. [https://doi.org/10.13103/JFHS.2019.34.5.421]
  • MAFRA, 2022. A survey on raw material consumption in the food industry (202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Korea.
  • MFDS, 2019. General guidelines for risk assessment of Human produc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 MFDS, 2022.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https://www.mfds.go.kr/brd/m_207/list.do, (Accessed Oct. 4. 2022)
  • MOLEG, 2022. Registration criteria for pesticides and raw materials,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s://www.law.go.kr/, (Accessed Dec. 1. 2022)
  • Moon KE, Park MK, Bae HJ, Lee JH, Lee YN, et al., 2022. Comparison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by part. J. Food Hyg. Saf. 37(4):260-270. [https://doi.org/10.13103/JFHS.2022.37.4.260]
  • Nam HS, Choi YH, Yoon SH, Hong HM, Park YC, et al., 2006.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3):317-324.
  • NIFDS, 2017. A manual for the pesticide residues analytical methods of food code,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Cheongju, Korea.
  • Oh KY, Bae JY, Lee DY, Kim YJ, Lee DY, et al., 2021. Residual dissipation pattern of Dichlorvos and Etofenprox in squash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Pestic. Sci. 25(1):31-39. [https://doi.org/10.7585/kjps.2021.25.1.31]
  • Park HJ, Lee KW, Chung KH, Park BJ, Seo G, 2007. Diffusion of Ethoprophos in apple and pear. Korean J. Environ Agric. 26(2):177-178. [https://doi.org/10.5338/KJEA.2007.26.2.171]
  • Park JW, Kim TH, Chae S, Sim JR, Bae BJ, et al., 2012. The residue property of fungicide Dimethomorph and Pyraclostrobin in green onion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Pestic. Sci. 16(4):328-335. [https://doi.org/10.7585/kjps.2012.16.4.328]
  • Park KA, Lee JS, Jung SY, Jo SA, Kim NH, et al., 2015.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peel, fruit and pulp of tropical, citrus and pome fruits. Research Institu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51:71-82.
  • RDA, 2022. Pesticide Safety Information System,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ttp://psis.rda.go.kr, (Accessed Nov. 25. 2022)
  • Yang YS, Gang GR, Lee SM, Kim SG, Lee MG, et al., 2017.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wholesale market in Gwangju (2014~2016). Korean J. Pestic. Sci. 21(4):341-354. [https://doi.org/10.7585/kjps.2017.21.4.341]
Author Information and Contributions

Eun-Ju Kim,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http://orcid.org/0000-0003-4564-6940

Jae-hoon Jeong,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So-hyun Park,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Wi-gyeong Gwon,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Ji-yun Jeong,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Ji-young Hwang,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Jeong-wan Yu,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Seong-hee Kim,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Sung-ah Park,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er

Table 1.

List of samples analyzed for pesticide residues

Groups Commodity No. of samples
Pome fruits Apple 16
Pear 16
Citrus fruits Mandarin 20
Orange 13
Lemon 13
Stone fruits Peach 18
Berry fruits Grape 16
Total 112

Table 2.

List of residual pesticides analyzed by GC-MSMS

Alachlor Endrin Isofenphos Propanil
Aldrin & Dieldrin EPN Isoprocarb Propiconazole
Anilofos Epoxiconazole Isoprothiolane Propisochlor
Benfuresate Ethalfluralin Isopyrazam Propyzamide
BHC Ethion Isotianil Prothiofos
Bifenthrin Ethoprophos Kresoxim-methyl Pyraclofos
Boscalid Ethychlozate Lindane Pyraflufen-ethyl
Bromobutide Etoxazole Mepanipyrim Pyrazophos
Bromopropylate Etridiazole Mepronil Pyriftalid
Buprofezin Fenamidone Metalaxyl Pyrimethanil
Butachlor Fenarimol Methidathion Pyriminobac-methyl
Cadusafos Fenbuconazole Methoxychlor Quinalphos
Carbophenothion Fenclorim Metolachlor Quinoxyfen
Carboxin Fenitrothion Metribuzin Quintozene
Chlordane Fenobucarb Myclobutanil Silafluofen
Chlorfenapyr Fenothiocarb Nuarimol Simeconazole
Chlorobenzilate Fenoxanil Oxadiazon Simetryn
Chlorpropham Fenpropimorph Oxadixyl Spiromesifen
Chlorpyrifos Fenpyrazamine Oxyfluorfen Spiroxamine
Chlorpyrifos-methyl Fenthion Paclobutrazol Tebuconazole
Clomazone Fipronil Parathion Tebufenpyrad
Cyflufenamid Fluacrypyrim Parathion-Methyl Tebupirimfos
Cyprodinil Fluazifop-butyl Penconazole Tecnazene
Deltamethrin Flucythrinate Pendimethalin Tefluthrin
Diazinon Fluensulfone Penflufen Terbacil
Dichlobenil Flumioxazine Penthiopyrad Terbutryn
Diclofop-methyl Fluopyram Pentoxazone Tetraconazole
Dicloran Fluquinconazole Phenthoate Tetradifon
Dicofol Flusilazole Phosalone Thifluzamide
Diethofencarb Flutianil Phosmet Thiometon
Difenoconazole Fluxapyroxad Phosphamidon Tolclofos-methyl
Dimepiperate Formothion Picoxystrobin Triadimefon
Dimethametryn Fthalide, Phthalide Piperonyl butoxide Triadimenol
Dimethenamid Heptachlor Pirimicarb Tri-allate
Dimethylvinphos Hexythiazox Pirimiphos-ethyl Triazophos
Diniconazole Indanofan Pirimiphos-methyl Trifloxystrobin
Diphenamid Indoxacarb Pretilachlor Triflumizole
Diphenylamine Ipconazole Procymidone Trifluralin
Dithiopyr Iprobenfos Profenofos Vinclozolin
Endosulfan Isazofos Prometryn Zoxamide

Table 3.

List of residual pesticides analyzed by UPLC-MSMS

Acephate Ethaboxam Mandipropamid Pyribencarb
Acetamiprid Ethiofencarb Mecarbam Pyribenzoxim
Aldicarb Etofenprox Mefenacet Pyributicarb
Ametoctradin Etrimfos Mefentrifluconazole Pyridaben
Amisulbrom Famoxadone Metaflumizone Pyridaphenthion
Azinphos-methyl Fenamiphos Metamifop Pyrifluquinazon
Azoxystrobin Fenazaquin Metconazole Pyrimidifen
Benalaxyl Fenhexamid Methabenzthiazuron Pyrimisulfan
Bendiocarb Fenoxaprop-ethyl Methamidophos Pyriofenone
Benthiavalicarb-isopropyl Fenoxycarb Methiocarb Pyroquilon
Benzobicyclon Fenpyroximate Methoxyfenozide Quinoclamine
Benzoximate Fensulfothion Metobromuron Saflufenacil
Benzyladenine Fentrazamide Metolcarb Sedaxane
Bistrifluron Ferimzone Metrafenone Sethoxydim
Bromacil Flonicamid Mevinphos Simazine
Cafenstrole Fluazinam Monocrotophos Spinetoram
Carbaryl Flubendiamide Napropamide Spinosad
Carbendazim Fludioxonil Norflurazon Spirodiclofen
Carpropamide Flufenacet Ofurace Sulfentrazone
Chlorantraniliprole Flufenoxuron Omethoate Sulfoxaflor
Chlorfenvinphos Fluopicolide Orysastrobin Tebufenozide
Chlorfluazuron Flupyradifurone Oryzalin Tebufloquin
Chloridazon Flusulfamide Oxadiargyl Teflubenzuron
Chromafenozide Fluthiacet-methyl Oxamyl Tepraloxydim
Clofentezine Flutolanil Oxathiapiprolin Terbufos
Clothianidin Flutriafol Oxaziclomefone Terbuthylazine
Cyantraniliprole Fluxametamide Oxydemeton-methyl Tetraniliprole
Cyazofamid Fomesafen Pencycuron Thenylchlor
Cyclaniliprole Forchlorfenuron Penoxsulam Thiabendazole
Cycloprothrin Fosthiazate Phenothrin Thiacloprid
Cyenopyrafen Hexaconazole Phorate Thiamethoxam
Cyflumetofen Hexaflumuron Phoxim Thiazopyr
Cymoxanil Hexazinone Picarbutrazox Thidiazuron
Cyproconazole Imazalil Piperophos Thiobencarb
Daimuron Imibenconazole Probenazole Tiadinil
Dichlorvos Imicyafos Propamocarb Tolfenpyrad
Diclosulam Imidacloprid Propoxur Triafamone
Diflubenzuron Inabenfide Prosulfocarb Triazamate
Dimethoate Ipfencarbazone Pydiflumetofen Tricyclazole
Dinotefuran Iprovalicarb Pyflubumide Triflumuron
Disulfoton Isoxaben Pyraclonil Triticonazole
Diuron Linuron Pyraclostrobin Valifenalate
Dodine Lufenuron Pyraziflumid Vamidothion
Emamectin benzoate Malathion Pyrazolate
Esprocarb Mandestrobin Pyrazoxyfen

Table 4.

Analytical conditions of GC-MSMS

Instrument GC-MSMS (Agilent 7010B)
Inlet temp. 260oC
Carrier gas He (1.2 mL/min)
Column DB-5MS UI (30 m × 0.25 mm × 0.25 μm)
Oven temp. 60oC (1 min) → 30oC/min → 180oC (0 min) → 5oC/min → 290oC (0 min) → 20oC/min → 310oC (2 min)
Detector temp. Source 250oC
Quadrupole 150oC

Table 5.

Analytical conditions of UPLC-MSMS

Instrument UPLC-MSMS (Waters Xevo TQ-S micro)
Column CORTECS UPLC C18+ 1.6 μm (2.1 × 100 mm), Tmperature : 40oC
Flow rate 0.2 mL/min
Injection vol. 2 μL
Mobile phase A: 5 mM ammonium formate, 0.1% formic acid in water
B: 5 mM ammonium formate, 0.1% formic acid in methanol
Gradient Time (min) A (%) B (%)
0.0 95 5
0.65 95 5
2.0 60 40
8.0 30 70
11.0 20 80
15.0 0 100
17.0 0 100
19.0 95 5

Table 6.

Recovery rate, LOD and LOQ of pesticides detected

Pesticide Instrument type Recovery ± RSDa)(%) LODb) (mg/kg) LOQc) (mg/kg)
a)Relative standard deviation
b)Limit of detection
c)Limit of quantification
Bifenthrin GC-MSMS 98.2 ± 1.2 0.0007 0.0021
Buprofezin GC-MSMS 89.4 ± 3.0 0.0008 0.0024
Chlorfenapyr GC-MSMS 92.0 ± 4.4 0.0017 0.0053
Cyprodinil GC-MSMS 97.3 ± 2.8 0.0008 0.0024
Propiconazole GC-MSMS 89.9 ± 2.2 0.0005 0.0018
Trifloxystrobin GC-MSMS 82.0 ± 0.8 0.0007 0.0022
Carbendazim LC-MSMS 99.1 ± 3.8 0.0007 0.0023
Chlorantraniliprole LC-MSMS 101.6 ± 2.9 0.0009 0.0029
Etofenprox LC-MSMS 96.2 ± 0.7 0.0006 0.0021
Fenhexamid LC-MSMS 98.4 ± 1.0 0.0010 0.0031
Imazalil LC-MSMS 107.6 ± 3.2 0.0012 0.0037
Thiabendazole LC-MSMS 97.6 ± 1.7 0.0007 0.0022

Table 7.

Detection rate of residual pesticides from whole, peel and pulp

Group Commodity No. of samples No. of sample detected(%)
whole
(peel+pulp)
peel pulp
Pome fruits Apple 16 15 (93.8) 16 (100.0) 7 (43.8)
Pear 16 1 6.3) 15 (93.8) 0 (0)
Citrus fruits Mandarin 20 11 (55.0) 18 (90.0) 7 (35.0)
Orange 13 13 (100.0) 13 (100.0) 8 (61.5)
Lemon 13 13 (100.0) 13 (100.0) 5 (38.5)
Stone fruits Peach 18 13 (72.2) 18 (100.0) 5 (27.8)
Berry fruits Grape 16 11 (68.8) 14 (87.5) 9 (56.3)
Total 112 77 (68.8) 107 (95.5) 41 (36.6)

Table 8.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pome fruits

Commodity
(No. of samples)
Pesticides MRLa)
(mg/kg)
Detection range (mg/kg)
(No. of detection)
whole
(peel+pulp)
peel pulp
a)maximum residue limits
Apple
(16)
Acetamiprid 0.3 0.1 (1) 0.1 (2) -
Bifenthrin 0.5 0.1 (1) 0.1-0.6 (14) -
Bistrifluron 1.0 - 0.1 (2) -
Boscalid 1.0 - 0.2 (2) -
Carbendazim 3.0 0.1-2.5 (8) 0.1-13.0 (10) 0.1-3.0 (6)
Chlorantraniliprole 2.0 - 0.1 (3) -
Chlorfenapyr 1.0 - 0.1-0.2 (2) -
Chlorpyrifos 1.0 - 0.1 (1) -
Deltamethrin 0.5 - 0.1-1.1 (8) -
Difenoconazole 1.0 0.1 (1) 0.1-0.6 (6) -
Diflubenzuron 2.0 0.1 (1) 0.1-0.7 (5) -
Dinotefuran 0.5 0.1 (1) 0.1 (1) 0.1 (1)
Etofenprox 1.0 0.1-0.2 (9) 0.1-3.3 (16) -
Fenazaquin 0.3 - 0.3 (1) -
Fenitrothion 0.5 - 0.1 (1) -
Fluazinam 0.3 0.1 (1) 0.1-0.5 (2) -
Flubendiamide 1.0 0.1 (1) 0.1-0.7 (2) -
Flutriafol 1.0 - 0.1 (1) -
Fluxametamide 0.5 - 0.6 (1) -
Fluxapyroxad 0.5 - 0.1 (1) -
Hexythiazox 0.3 - 0.1 (1) -
Indoxacarb 0.3 - 0.1-0.2 (2) -
Lufenuron 0.3 - 0.1-0.2 (5) -
Metconazole 1.0 - 0.1-0.2 (4) -
Methoxyfenozide 2.0 - 0.1-0.5 (2) -
Procymidone 0.01 - 0.02 (1) -
Propiconazole 1.0 - 0.1-0.3 (4) -
Pydiflumetofen 0.5 - 0.2 (1) -
Pyflubumide 0.5 - 0.1 (1) -
Pyraclostrobin 0.3 0.1 (1) 0.1-0.8 (10) -
Pyraziflumid 1.0 - 0.1 (1) -
Spirodiclofen 2.0 - 0.1 (1) -
Spiromesifen 1.0 - 0.1-0.3 (4) -
Tebuconazole 1.0 0.1 (3) 0.1-0.4 (13) -
Teflubenzuron 1.0 - 0.1 (3) -
Tetraniliprole 0.7 - 0.2-0.3 (2) -
Trifloxystrobin 0.7 0.1-0.2 (2) 0.1-0.9 (10) -
Triflumuron 0.5 - 0.1 (1) -
Pear
(16)
Boscalid 1.0 - 0.1-0.4 (3) -
Buprofezin 0.5 - 0.1-0.5 (10) -
Carbendazim 3.0 0.2 (1) 0.1-0.6 (11) -
Chlorfenapyr 1.0 - 0.1 (1) -
Chlorpyrifos 1.0 - 0.1-0.4 (4) -
Cyenopyrafen 1.0 - 0.2 (1) -
Difenoconazole 1.0 - 0.1 (1) -
Etofenprox 1.0 - 0.1 (1) -
Fenitrothion 1.0 - 0.1 (1) -
Fludioxonil 5.0 - 0.4 (1) -
Fluquinconazole 0.5 - 0.1 (1) -
Indoxacarb 0.5 - 0.3 (1) -
Methidathion 0.01 - 0.02 (1) -
Methoxyfenozide 2.0 - 0.1 (2) -
Pydiflumetofen 0.5 - 0.1 (1) -
Pyraclostrobin 1.0 - 0.1 (1) -
Pyrimethanil 3.0 - 0.2 (1) -
Spirodiclofen 1.0 - 0.1 (1) -
Tebuconazole 0.5 - 0.1 (1) -
Teflubenzuron 1.0 - 0.1 (1) -
Thiabendazole 3.0 - 0.1 (2) -

Table 9.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citrus fruits

Commodity
(No. of samples)
Pesticides MRL (mg/kg) Detection range (mg/kg)
(No. of detection)
whole
(peel+pulp)
peel pulp
Mandarin
(20)
Acephate 5.0 - - 0.1 (1)
Bifenthrin 0.5 - 0.1 (1) -
Boscalid 3.0 0.1 (1) 0.1 (1) -
Buprofezin 0.5 - 0.1 (1) -
Carbendazim 5.0 0.1-2.1 (10) 0.1-9.5 (15) 0.1-0.6 (5)
Chlorfenapyr 1.0 0.3 (1) 0.1-1.5 (7) -
Chlorpyrifos 1.0 - 0.3 (1) -
Cyprodinil 1.0 - 0.1 (2) -
Deltamethrin 0.5 - 0.1 (1) -
Diflubenzuron 3.0 - 0.1 (3) -
Dinotefuran 1.0 - 0.1 (1) 0.1 (1)
Etofenprox 5.0 0.1 (1) 0.8 (1) -
Fenazaquin 2.0 - 0.1-0.2 (3) -
Flonicamid 1.0 - 0.1 (1) -
Imidacloprid 0.7 - 0.1 (3) -
Indoxacarb 0.5 - 0.1 (3) -
Kresoxim-methyl 2.0 - 0.1 (1) -
Lufenuron 0.5 - 0.1 (2) -
Phenthoate 1.0 0.1 (1) 0.4 (2) -
Pyridaben 2.0 - 0.1 (1) -
Spirodiclofen 2.0 - 0.1-0.3 (4) -
Orange
(13)
Azoxystrobin 10 1 (1) 1-2 (3) -
Buprofezin 2.5 - 0.1 (1) -
Difenoconazole 0.6 - 0.1 (2) -
Fludioxonil 10 1 (1) 1-2 (3) -
Imazalil 15 1 (9) 1-5 (11) -
Pendimethalin 0.05 0.01 (1) 0.06 (1) -
Propiconazole 8.0 0.2 (1) 0.3 (1) 0.1 (1)
Pyrimethanil 7.0 0.3-0.4 (3) 0.8-1.3 (3) -
Simeconazole 0.5 - 0.1 (1) -
Thiabendazole 7.0 0.2-1.4 (11) 0.6-7.4 (11) 0.1 (7)
Lemon
(13)
Azoxystrobin 10 1 (7) 1-2 (12) -
Fludioxonil 10 1 (8) 1-3 (12) -
Imazalil 15 1-2 (11) 1-4 (13) -
Metalaxyl 0.01 - 0.01 (1) -
Propiconazole 8.0 0.1-0.5 (11) 0.2-1.4 (11) 0.1 (1)
Thiabendazole 7.0 0.1-1.5 (10) 0.4-2.1 (10) 0.1-0.2 (4)

Table 10.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stone fruits

Commodity
(No. of samples)
Pesticides MRL
(mg/kg)
Detection range (mg/kg)
(No. of detection)
whole
(peel+pulp)
peel pulp
Peach
(18)
Acetamiprid 1.0 0.1 (1) 0.2 (1) -
Azoxystrobin 2.0 0.1 (1) 0.1-2.0 (4) -
Bifenthrin 0.3 - 0.1-1.1 (3) -
Bistrifluron 1.0 - 0.2 (2) -
Boscalid 1.0 - 0.3 (1) -
Buprofezin 1.0 0.1-0.2 (2) 0.7-1.0 (2) 0.1 (1)
Carbendazim 2.0 0.1-0.3 (3) 0.1-5.1 (4) 0.1 (2)
Chlorantraniliprole 1.0 - 0.1-1.0 (9) -
Chlorfenapyr 1.0 - 0.1 (1) -
Chlorpyrifos 0.5 - 0.1 (1) -
Chromafenozide 0.5 - 0.1 (1) -
Cyenopyrafen 0.5 0.1 (1) 0.1-0.7 (3) -
Cyflumetofen 1.0 0.6 (1) 0.1-2.6 (2) -
Deltamethrin 0.5 - 0.2-0.7 (3) -
Difenoconazole 2.0 - 0.1-0.4 (6) -
Diflubenzuron 0.1 - 0.1 (1) -
Emamectin benzoate 0.2 - 0.1 (1) -
Etofenprox 2.0 - 0.1-1.1 (8) -
Flonicamid 1.0 - 0.3 (1) 0.1 (1)
Fluazinam 1.0 0.3 (1) 0.1-2.8 (4) -
Flubendiamide 0.7 0.1-0.3 (2) 0.6-4.8 (3) -
Fluxametamide 2.0 - 0.1-0.3 (4) -
Imidacloprid 0.5 - 0.1 (1) -
Indoxacarb 1.0 0.2 (1) 0.1-4.4 (7) -
Kresoxim-methyl 1.0 - 2.1 (1) -
Lufenuron 0.5 0.1 (1) 0.1-0.8 (7) -
Mefentrifluconazole 0.3 0.1 (1) 0.1-0.3 (3) -
Metaflumizone 0.5 - 0.2 (1) -
Methoxyfenozide 2.0 - 0.1-0.2 (2) -
Pendimethalin 0.05 0.03 (1) 0.04-0.32 (2) -
Phenothrin 0.01 - 0.03 (1) -
Pydiflumetofen 0.7 - 0.2 (1) -
Pyflubumide 1.0 - 0.1 (1) -
Pyraclostrobin 1.0 - 0.1-2.2 (6) -
Spirodiclofen 0.5 - 0.8 (1) -
Spiromesifen 2.0 - 0.3-0.6 (3) -
Sulfoxaflor 0.5 0.1 (1) 0.1 (1) 0.1 (1)
Tebuconazole 1.0 - 0.1-0.2 (3) -
Teflubenzuron 1.0 - 0.2 (1) -
Thiabendazole 0.01 - 0.01-0.05 (2) -
Trifloxystrobin 2.0 0.1-0.3 (4) 0.1-4.8 (8) -
Triflumizole 1.0 - 1.1 (1) -

Table 11.

Level of residual pesticides in berry fruits

Commodity
(No. of samples)
Pesticides MRL
(mg/kg)
Detection range (mg/kg)
(No. of detection)
whole
(peel+pulp)
peel pulp
Grape
(16)
Acetamiprid 1.0 - 0.1 (1) -
Boscalid 5.0 0.1-0.4 (3) 0.1-2.5 (6) 0.1 (2)
Carbendazim 3.0 1.5 (1) 2.2 (1) 1.9 (1)
Chlorantraniliprole 2.0 0.1 (1) 0.1-0.5 (4) -
Chlorpyrifos 0.01 - 0.01 (1) -
Chromafenozide 0.7 0.1 (1) 0.1 (1) -
Cyprodinil 5.0 0.1-0.4 (5) 0.7-1.7 (5) 0.1 (3)
Difenoconazole 1.0 - 0.1-1.0 (2) -
Dinotefuran 5.0 0.1 (1) 0.1 (1) 0.1 (1)
Fenhexamid 3.0 0.3-2.1 (5) 0.6-7.4 (6) 0.1-0.3 (5)
Fludioxonil 5.0 0.1-0.2 (5) 0.4-0.9 (5) 0.1 (1)
Fluopyram 5.0 0.1 (1) 0.1-0.3 (3) -
Kresoxim-methyl 5.0 - 0.1 (1) -
Mandestrobin 5.0 0.2 (1) 0.3 (1) -
Methoxyfenozide 2.0 - 0.1 (2) -
Myclobutanil 2.0 - 0.2 (1) -
Phenothrin 0.01 - 0.03 (1) -
Pyraclostrobin 3.0 - 0.1 (2) -
Spinetoram 1.0 - 0.1 (2) -
Sulfoxaflor 2.0 - 0.1 (1) -
Tebuconazole 5.0 - 0.1-0.2 (2) -

Table 12.

Residual pesticides of detected in the sample

Pesticides Pesticide type Commodity (No. of detection) Sub
total
Azoxystrobin Fungicide orange (3), lemon (12), peach (4) 19
Bifenthrin Insecticide apple(14), mandarin (1), peach (3) 18
Boscalid Fungicide apple (2), pear (3), mandarin (1), peach (1), grape (6) 13
Buprofezin Insecticide pear (10), mandarin (1), orange (1), peach (2) 14
Carbendazim Fungicide apple (10), pear (11), mandarin (15), peach (4), grape (1) 41
Chlorantraniliprole Insecticide apple (3), peach (9), grape (4) 16
Chlorfenapyr Insecticide apple (2), pear (1), mandarin (7), peach (1) 11
Chlorpyrifos Insecticide apple (1), pear (4), mandarin (1), peach (1), grape (1) 8
Cyprodinil Fungicide mandarin (2), grape (5) 7
Deltamethrin Insecticide apple (8), mandarin (1), peach (3) 12
Difenoconazole Fungicide apple (6), pear (1), orange (2), peach (6), grape (2) 17
Diflubenzuron Insecticide apple (5), mandarin (3), peach (1) 9
Etofenprox Insecticide apple (16), pear (1), mandarin (1), peach (8) 26
Fenhexamid Fungicide grape (6) 6
Fluazinam Fungicide apple (2), peach (4) 6
Flubendiamide Insecticide apple (2), peach (3) 5
Fludioxonil Fungicide pear (1), orange (3), lemon (12), grape (5) 21
Fluxametamide Insecticide apple (1), peach (4) 5
Imazalil Fungicide orange (11), lemon (13) 24
Indoxacarb Insecticide apple (2), pear (1), mandarin (3), peach (7) 13
Lufenuron Insecticide apple (5), mandarin (2), peach (7) 14
Methoxyfenozide Insecticide apple (2), pear (2), peach (2), grape (2) 8
Propiconazole Fungicide apple (4), orange (1), lemon (11) 16
Pyraclostrobin Fungicide apple (10), pear (1), peach (6), grape (2) 19
Spirodiclofen Insecticide apple (1), pear (1), mandarin (4), peach (1) 7
Spiromesifen Insecticide apple (4), peach (3) 7
Tebuconazole Fungicide apple (13), pear (1), peach (3), grape (2) 19
Teflubenzuron Insecticide apple (3), pear (1), peach (1) 5
Thiabendazole Fungicide pear (2), orange (11), lemon (10), peach (2) 25
Trifloxystrobin Fungicide apple (10), peach (8) 18
Total 429

Table 13.

Residual pesticides of detected in the pulp from sample

Pesticides Pesticide type Commodity (No. of detection) Sub
total
Acephate Insecticide Mandarin (1) 1
Boscalid Fungicide Grape (2) 2
Buprofezin Insecticide Peach (1) 1
Carbendazim Fungicide Apple (6), Mandarin (5), Peach (2), Grape (1) 14
Cyprodinil Fungicide Grape (3) 3
Dinotefuran Insecticide Apple (1), Mandarin (1), Grape (1) 3
Fenhexamid Fungicide Grape (5) 5
Flonicamid Insecticide Peach (1) 1
Fludioxonil Fungicide Grape (1) 1
Propiconazole Fungicide Orange (1), Lemon (1) 2
Sulfoxaflor Insecticide Peach (1) 1
Thiabendazole Fungicide Orange (7), Lemon (4) 11
Total 45

Table 14.

Residual pesticides of detected in the peel from sample

Pesticides Detection range
(mg/kg)
MRL
(mg/kg)
Commodity (No. of detection) Sub
total
Bifenthrin 0.6 0.5 Apple (1) 1
Carbendazim 5.1-13.0 2.0-5.0 Apple (3), Mandarin (2), Peach (1) 6
Chlorfenapyr 1.5 1.0 Mandarin (1) 1
Cyenopyrafen 0.7 0.5 Peach (1) 1
Cyflumetofen 2.6 1.0 Peach (1) 1
Deltamethrin 0.7-1.1 0.5 Apple (1), Peach (1) 2
Etofenprox 1.1-3.3 1.0 Apple (6) 6
Fenhexamid 5.6-7.4 3.0 Grape (2) 2
Fluazinam 0.5-2.8 0.3-1.0 Apple (1), Peach (1) 2
Flubendiamide 1.3-4.8 0.7 Peach (2) 2
Fluxametamide 0.6 0.5 Apple (1) 1
Indoxacarb 4.4 1.0 Peach (1) 1
Kresoxim-methyl 2.1 1.0 Peach (1) 1
Lufenuron 0.8 0.5 Peach (1) 1
Methidathion 0.02 0.01 Pear (1) 1
Pendimethalin 0.06-0.32 0.05 Orange (1), Peach (1) 2
Phenothrin 0.03 0.01 Peach (1), Grape (1) 2
Procymidone 0.02 0.01 Apple (1) 1
Pyraclostrobin 0.4-2.2 0.3-1.0 Apple (2), Peach (2) 4
Spirodiclofen 0.8 0.5 Peach (1) 1
Thiabendazole 0.05-7.4 0.01-7.0 Orange (1), Peach (1) 2
Trifloxystrobin 0.9-4.8 0.7-2.0 Apple (1), Peach (1) 2
Triflumizole 1.1 1.0 Peach (1) 1
Total 44

Table 15.

Risk assessment of detected pesticides from peel

Pesticides Commodity Averagea) concentration
(mg/kg)
ADIb)
(mg/kg·bw/day)
EDIc)
(mg/kg·bw/day)
%ADId)
(EDI/ADI)(%)
a)Average concentration = ΣDetected concentration/number of total sample
b)Acceptable daily intake
c)Estimated daily intake = average concentration (mg/kg) × daily intake (kg/day) / 55 kg
d)(EDI/ADI) × 100
Carbendazim Apple 3.8695 0.03 0.0024 8.0
Mandarin 1.8219 0.0004 1.3
Peach 1.4416 0.0003 1.0
Etofenprox Apple 0.9463 0.03 0.0006 2.0